동영상
<앵커>
SK텔레콤 해킹 사태 이후 '유심 대란'이라는 말까지 나오면서 아직까지도 유심 교체를 하지 못한 가입자들이 많습니다. 유심을 교체하지 않고도 같은 효과를 내는 서비스가 내일(12일)부터 도입됩니다.
유덕기 기자가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기자>
SK텔레콤이 새로 도입하는 '유심 재설정'은 유심에 담겨 있는 사용자 식별·인증 정보와 사용자 직접 저장 정보 가운데 해킹 때 유출된 사용자 식별·인증 정보를 새로운 값으로 바꾸는 것입니다.
물리적 교체 없이 새 유심처럼 쓸 수 있어 '유심 포맷'이라고도 부르는데, 해킹 사태 이후 관련 기술이 검토돼 왔습니다.
유심 복제 시도를 차단할 수 있는 대신, 사용자 직접 저장 정보는 그대로인 만큼 기존 금융인증서나 티머니, 연락처 등이 그대로 유지됩니다.
유심 교체에 따른 인증서 재발급 등의 불편이 일부 줄어들 수 있다고 SK텔레콤은 설명했습니다.
[류정환/SK텔레콤 부사장 : 실제 유심을 교체한 것과 같은 효과가 있는 거고요. 주소록을 백업하는 시간 그다음에 뒤의 재인증을 하는 시간, 그러니까 (물리적 유심 교체와 비교해) 앞과 뒤는 확실히 줄어듭니다.]
다만, 유심 재설정도 SK텔레콤 매장을 직접 방문해야 하고, 매장에서 유심 교체와 재설정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매장을 직접 방문하지 않아도 되는 e심 셀프 개통도 본격화 됐습니다.
e심은 휴대폰 내장 칩에 저장하는 무형의 유심인데, 그동안 오류 발생을 우려한 SK텔레콤은 대리점 내 상담 뒤 교체를 권장해 왔습니다.
오늘 새벽 0시 기준 유심 교체 예약 고객은 722만 명.
SK텔레콤이 밝힌 다음 달 내 확보 가능 유심 물량은 1천77만 개로 유심 재설정, e심 셀프 교체가 병행되면 교체 속도는 더 빨라질 것으로 보입니다.
해외 로밍과 동시에 이용 가능한 유심 보호 서비스도 개발을 마쳐 내일 밤부터 자동 가입이 시작됩니다.
SK텔레콤은 위약금 면제 등 피해 보상과 관련해서는 1, 2주 내로 고객신뢰회복위원회를 꾸려 대책안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영상편집 : 최혜란, 디자인 : 최하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