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앵커>
최근 한국전력이 추진하는 송전 시설 등과 관련해 갈등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진천군 문백면에 이어 이번에는 청주시 3개 면과 세종시 부강면을 후보지로 한 개폐소 입지선정위원회의 인선을 놓고 형평성 논란이 빚어지고 있습니다. 특정 지역에 불리하게 입지선정위원회가 구성됐다는 것입니다.
이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최근 한국전력은 주민 기피 시설인 345kV 개폐소를 건설하기 위해 후보 지역을 대상으로 입지선정위원회를 꾸렸습니다.
후보 지역은 청주시 면 지역 3곳과 세종시 부강면입니다.
그런데 주민 대표 구성부터 상식적이지 않다는 말이 나오고 있습니다.
24명 주민대표 가운데 세종시 부강면이 12명으로 반을 차지하고 있고, 청주시 현도면 등 3개 지역은 각각 4명씩만 배분한 것입니다.
상대적으로 청주시 후보지에 불리한 구성입니다.
이 가운데 현도면 주민들의 반발이 거셀 전망입니다.
다른 후보지 가운데 상당수가 상수원보호구역에 묶여 있거나 도심 가까이 위치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유승돈/청주시 현도면 이장협의회장 : 여러 사람의 의견 수렴을 해서 의견이 많은 쪽으로 가겠다. 그렇게 했는데, 그 말은 실상은 사람이 더 많은 쪽이 유리하다.]
뒤늦게 이 사실을 알게 된 청주시 3개 지역 주민들은 최근 열린 입지선정위원회에서 반발하며 자리를 떠나기도 했습니다.
이에 대해 한전 측은 법적, 절차적 문제는 없었다고 해명했습니다.
둘 이상의 시군구 구역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시군구별 거주 주민 1명 이상으로 입지선정위원회를 구성하면 된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벌써부터 반발이 터져 나오자 다시 의견 수렴을 하겠다는 입장도 내놨습니다.
[한국전력 관계자 : 3개 면의 대표분들을 저희가 만나서 주민 대표 수 조정에 대해서 의견을 다시 수렴하고요.]
최근 진천군 문백면의 송전 시설 건립 과정에서 벌어지고 있는 갈등과 마찬가지로 한전의 형식적인 입지선정위 운영이 또 도마에 올랐습니다.
(영상취재 : 이천기 CJB)
CJB 이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