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뉴스 > 국제

젤렌스키 "크림반도 못 내준다"…트럼프 종전안에 배수진

유영규 기자

입력 : 2025.04.25 09:45|수정 : 2025.04.25 09:45


▲ 남아공 방문한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크림반도를 러시아에 내어줄 수는 없다면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종전 계획에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날 남아프리카공화국 프리토리아에서 시릴 라마포사 대통령과 정상회담한 뒤 연 공동 기자회견에서 "우리는 파트너들이 제안한 모든 것을 실행하겠다"며 " 우리의 법률과 헌법에 위배되는 것만은 할 수가 없다"고 입장을 밝혔습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러시아에 제안한 종전안의 핵심인 크림반도 이양에 대한 거부를 공식적으로 재확인한 것입니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의 영토인 크림반도를 2014년 강제로 점령해 병합을 선언했으며 국제사회는 이를 국제법 위반으로 삼아 러시아를 제재하고 있습니다.

젤렌스키 대통령을 비롯한 우크라이나인들은 크림반도를 러시아 영토로 인정하는 것은 자국 헌법 때문에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혀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젤렌스키 대통령을 비판하며 러시아가 실효 지배하는 크림반도가 종전 협상에서 논의의 초점조차 될 수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러시아는 크림반도가 협상 의제가 아니라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이 러시아의 입장과 완전히 일치한다고 맞장구를 쳤습니다.

앞서 외신들은 미국이 평화 협정을 위해 러시아의 크림반도 병합 인정 등을 제안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우크라이나 헌법 제2조는 주권이 '전 영토에 걸쳐' 있으며, '현재의 국경 내에서는 분할할 수 없고 불가침'이라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헌법상 영토로 간주하는 크림반도를 러시아에 넘겨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국민투표밖에 없지만, 계엄 상태인 우크라이나에서는 개헌이 불가능합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휴전 협상 성사를 위해서 우크라이나가 아니라 러시아를 압박해야 한다고 강하게 주장했습니다.

그는 "침공을 중단하거나 휴전에 동의하라는 러시아에 대한 강력한 압박은 보지 못했다"면서 협상 성사를 위해서 러시아를 압박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그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휴전 협상에 나서도록 남아공을 비롯한 관련국들이 설득해주기를 바란다"며 "포괄적이고 무조건적인 휴전과 이를 위한 협상을 시작할 준비가 돼 있다"고 재차 강조했습니다.

이에 대해 라마포사 대통령은 "작년 9월 유엔총회에서 만났을 때보다 진일보한 입장"이라고 평가했습니다.

그러면서 "일부 영토의 할양 등 다른 모든 문제는 일단 휴전 협상을 시작한 뒤 협상 테이블에서 논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우크라이나 정상으로는 처음인 젤렌스키 대통령의 남아공 방문은 라마포사 대통령의 2023년 6월 우크라이나를 방문에 이어 이뤄졌습니다.

당시 우크라이나전 종전 중재를 위한 '아프리카 평화 이니셔티브'에 따른 아프리카 평화사절단의 일원으로 2023년 6월 16일 우크라이나를 찾았었습니다.

(사진=AP, 연합뉴스)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