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뉴스 > 경제

사망·실종 선원 10명 중 3명은 외국인…안전대책 검토

박재현 기자

입력 : 2025.04.14 10:23|수정 : 2025.04.14 10:23


▲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이 지난 2월 14일 정부세종청사 해수부 중회의실에서 열린 어선 사고 긴급 현안 회의에서 최근 연이은 어선 사고 상황 공유 및 해양 사고 예방을 위한 제도관리 등을 논의하고 있다.

작년 전복과 침몰 등으로 인한 어선사고 사망·실종자 10명 중 3명은 외국인 선원으로 나타났습니다.

정부는 안전 교육 의무화 등 외국인 선원 안전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

오늘(14일) 해양수산부 중앙해양안전심판원과 수협중앙회에 따르면 작년 어선사고로 인한 사망·실종자 118명 가운데 외국인 선원은 모두 35명(30%)으로 집계됐습니다.

사망·실종 외국인 선원의 수는 처음 집계된 2019년 16명(20%)에서 2023년 13명(17%)으로 줄었다가 작년 어선 사고가 자주 발생하면서 다시 급증했습니다.

외국인 선원 수는 국내 선원 인력 감소 등 영향으로 2018년 1만 2,600명에서 작년 1만 4,819명으로 2천 명 이상 늘었습니다.

다만 작년 기준으로 외국인 선원은 2019년보다 9.7% 늘었지만, 같은 기간 인명피해는 118.8% 늘어났습니다.

작년 말 제주 해상에서 발생한 135금성호 침몰 사건 당시 인도네시아 국적 선원 2명이 실종됐고, 지난 2월 발생한 부안 어선 화재 사건으로 인도네시아 국적 등 외국인 선원 5명이 죽거나 실종됐습니다.

지난달에는 부산에서 발생한 소형어선 충돌로 베트남 국적 선원 1명이 사망했습니다.

해수부는 '해양사고 인명피해 저감 태스크포스(TF)'를 통해 외국인 인명 피해 축소 방안을 포함한 대책을 논의 중입니다.

강도형 해수부 장관은 지난 9일 2차 TF 회의를 직접 주재하며 외국인 선원의 교육을 강화하는 등 안전 대책을 모색하라고 관련 부서에 주문했습니다.

강 장관은 "대부분의 사고는 사소한 부주의나 안전수칙 미준수로 인해 발생한다"면서 안전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