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앵커>
제주 신항만 기본 건설 계획이 변경 고시됐습니다. 변경 내용에 따르면 제주 신항은 물류와 관광을 아우를 수 있는 다기능 항만으로 개발됩니다.
조창범 기자입니다.
<기자>
제주 신항만 건설 계획이 처음 고시된 건 지난 2019년 8월.
2040년까지 2조 8천여억 원을 들여 여객과 크루즈 중심의 항만으로 개발한다는 계획이었습니다.
제주 신항만 건설 계획이 대폭 수정돼 고시됐습니다.
제주시 탑동 앞바다에 들어설 예정인 제주 신항만은 당초 여객과 크루즈 중심에서 화물과 크루즈 중심으로 변경됐습니다.
2035년까지 3조 8천억 원을 들여 물류와 관광의 다기능 항만으로 개발한다는 계획입니다.
22만 톤급 크루즈 1척과 15만 톤급 3척이 동시 접안 할 수 있어 크루즈 모항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될 전망입니다.
2만 톤급 잡화 부두 선석 3개와 유류부두 선석이 들어서면 물류 환적항의 기능도 갖추게 됩니다.
또 13만 5천 제곱미터의 재개발 부지에는 민간주도의 해양관광 클러스터도 들어서게 됩니다.
[오상필/제주자치도 해양수산국장 : 5월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 사업을 신청할 계획이며 대상 사업으로 선정될 경우 2025년 하반기부터 약 1년간 예타를 거쳐.]
시내에 위치한 민간 저유소들이 2만 톤급 유류부두에 입주하게 되면 새로운 도시계획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오영훈/제주자치도지사 : 협의를 통해 저유소가 이전되고 (기존 부지가) 다른 용도 사용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는 말씀드립니다. 이를 통해 정주 여건이 개선되는 공간으로 새롭게 도약하기를 기대한다는 점 말씀드립니다.]
하지만 신항만 계획에는 매립될 공유수면 면적만도 80만 9천 제곱미터에 달해 환경 훼손 논란과 화물 교통량 증가 해소, 어업인 보상 대책과 지역 주민 공감대 형성 등은 선결과제로 꼽히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오일령 JIBS)
JIBS 조창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