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앵커>
미얀마 현지에 간 저희 취재진이 지진 피해가 가장 컸던 곳 가운데 하나인, 네피도 지역을 취재했습니다. 전기와 물 공급이 끊긴 데다 여진이 계속되고 있어 피해복구는 엄두조차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한상우 특파원입니다.
<기자>
미얀마 제1도시 양곤에서 최대 지진 피해 지역인 만달레이와 수도 네피도로 가는 길.
양곤 도심을 벗어나 3시간 가까이 달리자 곳곳에서 갈라지고 깨진 도로가 나오기 시작합니다.
고속도로로 4시간 거리인 길을 농로와 국도를 이용해 9시간 만에 도착한 수도 네피도.
수도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로 큰 도로 곳곳이 끊기고 갈라진 채 군데군데 솟아올랐습니다.
주택과 상가가 밀집한 도심 지역에 들어서자 지진 피해의 처참함이 고스란히 드러납니다.
한 집 건너 한 집이 주저앉고 무너졌습니다.
깔린 사람들을 꺼낼 엄두도 못 낸 채 무너진 집들이 그대로 방치돼 있고, 주민들은 맨손으로 잔해를 뒤져봅니다.
여진의 공포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그나마 남아 있는 건물조차 언제 추가로 붕괴될지 모르고, 이렇게 쓰러지기 직전의 아슬아슬한 상황입니다.
도시 대부분의 전기가 끊겼고, 가스와 연료도 부족합니다.
암흑 속에서 촛불을 켠 채 그릇을 씻고, 숯으로 물을 끓여 마시고 있습니다.
[(전기 없어요?) 없어요.]
지진으로 전력 공급망이 파손된 영향입니다.
전신주가 쓰러지고 전선들이 대부분 끊기면서 이 일대 전기가 아예 끊겼습니다.
피해가 워낙 광범위하고 크기 때문에 복구는 엄두조차 못 내고 있습니다.
직접 곡괭이를 들어 잔해를 파내고, 돌을 날라 보지만 외부 지원이 없으면 상황은 더욱 암담해질 뿐입니다.
(영상취재 : 하 륭·윤 형, 영상편집 : 조무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