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뉴스 > 사회

호마의식? 중국지령?…재난서 음모론 땔감 찾는 사람들

유영규 기자

입력 : 2025.03.24 10:29|수정 : 2025.03.25 17:44


▲ 지난 22일 경북 의성군 의성읍 중리리에서 소방대원이 산불이 옮겨붙은 공장 건물에서 화재 진압을 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가 임박한 가운데 전국에서 동시다발로 발생하며 총 4명의 목숨을 앗아간 산불을 둘러싸고 음모론이 온라인에 퍼지고 있습니다.

구독자 2만 3천800여 명의 한 진보 성향 유튜버는 지난 23일 '김건희, 산불로 호마의식'이라는 제목의 영상을 게시했습니다.

호마의식은 불을 활용한 밀교 의식을 가리킵니다.

이 유튜버는 "김건희 여사가 윤석열 대통령과 자신의 나쁜 흐름을 바꾸려 무속적 의식을 실행한 게 아니냐는 의심이 나오고 있다"며 "불이 강한 사람(김 여사)이 더 강력한 불을 이용해 주변의 안 좋은 기운을 태워버릴 수 있다는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이 영상은 오늘(24일) 오전 현재 7만 1천 회 넘는 조회수를 기록하며 X(엑스·옛 트위터) 등 소셜미디어(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 퍼지고 있습니다.

"대선 당시도 전국 동시다발로 산불이 났다", "우연이 아니다. 반드시 증거를 찾아야 한다" 등의 댓글 900여 개도 영상에 달렸습니다.

반면 윤 대통령 지지자 사이에서는 간첩들이 국가중요시설을 노리고 조직적으로 방화해 산불이 일어났다는 주장이 빠르게 확산하고 있습니다.

디시인사이드 '미국 정치 갤러리'에서는 지난 21일부터 사흘 동안 '산불은 반국가세력의 테러', '경찰처럼 소방관도 믿을 수 없다' 등 제목의 글이 300여 건 올라왔습니다.

한 이용자는 "산불 내는 이유를 기억하라"며 "간첩이나 테러 세력이 혼란·교란·파괴 목적의 비대칭 전술을 사용하는 것"이라고 적었습니다.

이 글은 280여 명의 추천을 받았습니다.

앞서 이 게시판에서는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와 대전 초등학생 피살 사건, 포천 전투기 오폭 사고 등을 두고서도 북한과 중국이 배후라는 음모론이 제기된 바 있습니다.

스레드(Threads)에서도 과거 중국인 유학생들이 방화 혐의로 검거된 기사를 공유하며 "배후를 밝혀야 한다"는 글이 올라오고 있습니다.

유현재 서강대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는 "재난 희생자를 추모하기에 앞서 정략적으로 음모론을 만들고 이용하는 현상은 우리 사회의 극단적 갈등이 위험 수위에 다다랐음을 보여주는 사례"라며 "가짜뉴스 생산자와 플랫폼에 대해 책임을 묻지 않고 방치한 대가를 치르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