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앵커>
오늘(25일) 국회 내란혐의 청문회에서는 김용현 전 국방장관이 보안 휴대전화, 비화폰을 사직한 지 일주일 뒤에야 뒤늦게 반납한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여당은 공수처가 윤석열 대통령 관련 영장이 기각되자, 법원을 바꿔 청구했다는 이른바 '영장 쇼핑' 의혹을 파고들었습니다.
정다은 기자입니다.
<기자>
국회의 내란 혐의 국정조사특위는 오늘 마지막 청문회를 열었습니다.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보안 휴대전화인 비화폰을 뒤늦게 반납했던 거냐고 야당 의원이 묻는 데 대해, 대통령 경호처 경호관은 이렇게 답했습니다.
[윤건영/민주당 의원 : 경호처에 김용현 전 장관이 사용하던 비화폰 반납한 게 12월 13일 또는 12월 12일 맞지요?]
[대통령 경호처 경호관 : 예, 맞습니다.]
해당 시점은 김 전 장관이 장관직에서 물러난 지 일주일 뒤, 또 검찰 출석 후 긴급체포된 지 닷새쯤 지난 뒤였습니다.
김 전 장관 비화폰은 경호처에 봉인돼 있는데, 전원만 켜면 통화 기록을 확인할 수 있을 거라고 경호관은 증언했습니다.
여당 의원들은 공수처의 이른바 '영장 쇼핑' 의혹을 집중적으로 따졌습니다.
공수처가 윤석열 대통령이 피의자로 적시된 통신 영장과 압수수색 영장을 서울중앙지법에 청구했다가 기각되자, 윤 대통령 체포영장 때는 법원을 바꿔 서울서부지법에 청구했다는 겁니다.
[박준태/국민의힘 의원 : 대통령 영장 허가해 줄 진보 성향 판사 찾아서 영장 쇼핑했다 이런 비판이 나올 수밖에 없는 거예요.]
오동운 공수처장은, 윤 대통령이 대상인 통신 영장이 다른 수사기관과 중복된다는 사유로 기각된 적이 있지만, 압수수색영장은 윤 대통령을 대상으로 한 게 아니었다고 반박했습니다.
특히 처음, 서울중앙지법에 영장을 청구한 건 중앙지법 관할인 다른 피의자가 포함돼 있었기 때문이라면서, 대통령실과 대통령 관저의 관할은 서부지법이 맞는다고 말했습니다.
[오동운/공수처장 : 사실에 근거하지 않은 그런 비난은, 과도한 비난은 저로서는 좀 감당하기 힘듭니다.]
계엄 당시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에게서 체포 대상자 명단을 받아서 적어뒀다고 증언했던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은 몸이 아프다며 불출석했습니다.
국조특위는 오는 28일, 활동경과보고서를 채택할 예정입니다.
(영상취재 : 전경배, 영상편집 : 위원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