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서비스 산업 경쟁력을 높이고, 기업의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규제 개선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주요국과 비교를 통해 우리나라에만 있는 과도한 규제를 골라내고, 개선 가능성과 경제 효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개선 우선순위'를 도출할 계획입니다.
기획재정부는 최근 조달청 나라장터에 이런 내용을 담은 '서비스 산업 국내외 실태조사' 용역을 발주했습니다.
기재부는 발주 제안 요청서에서 "우리나라의 서비스산업은 고용의 70%, 부가가치의 60%를 창출하지만, 경쟁력은 주요국 대비 저조한 모습"이라고 설명했습니다.
2021년 기준 한국의 서비스 생산성은 6만 6천 달러로, 미국(12만 8천 달러), 프랑스(8만 6천 달러), 독일(7만 6천 달러) 등 나라보다 상대적으로 낮았습니다.
기재부는 또한 서비스 시장 진입장벽이 최근 완화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높은 수준이며 정부 개입 또한 심한 편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이에 과도하거나 중복적인 규제를 정비해 서비스 산업의 시장 형성을 뒷받침하고, 기업의 성장을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기재부는 제도 개선에 앞서 이번 실태점검을 통해 서비스산업 내 주요 규제 현황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예정입니다.
관련 기업 대상 설문조사 등을 통해 현장의 애로 요인을 파악하고, 사업을 준비하거나 임시 허가를 받은 단계에서 제도 미비 등으로 사업 활성화가 제한받은 사례를 조사할 방침입니다.
미국과 유럽연합, 일본 중국 등 주요국과 비교를 통해 우리나라에만 있는 과도한 규제를 가려내고, 규제 개선 사례와 이에 따른 경제·사회적 영향도 분석합니다.
조사에는 주요 규제의 개선 가능성과 경제적 효과에 대한 분석도 담깁니다.
서비스 수요, 이해관계자 간 갈등 발생 가능성 등을 고려해 제도 개선이 가능한지 따져보고, 사업 활성화 효과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해 규제 개선의 우선순위를 도출할 계획입니다.
기재부 관계자는 "용역 결과를 토대로 서비스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규제 개선 작업에 본격적으로 착수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사진=기획재정부 제공,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