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도권 아파트 입주물량 추이
내년도 수도권 아파트 입주 물량이 7만 가구 이하로 떨어지며 최근 10년 내 최저치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오늘(25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내년도 수도권 아파트 입주 물량은 6만 9천642가구로 올해(11만 3천465가구) 대비 40% 가까이 줄어듭니다.
수도권 입주 물량이 10만 가구 밑으로 떨어지는 것은 2015년(9만 2천640가구) 이후 10년 만입니다.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최근 10년 간 수도권의 연평균 입주 물량은 14만 4천977가구 규모입니다.
서울은 올해 입주 물량이 3만 1천300가구로 예상되나 내년 7천768가구로 급감할 전망입니다.
같은 기간 경기도는 6만 1천838가구에서 4만 9천35가구로, 인천은 2만 327가구에서 1만 2천839가구로 각각 줄어드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다만 2027년 이후에는 입주 물량이 반등할 가능성이 큽니다.
통상 인허가 물량이 3~4년의 시차를 두고 입주 물량에 영향을 미치는데 수도권 인허가 물량은 2023년 18만 2천266가구, 2024년 21만 2천776가구로 늘어나는 추세를 보여서입니다.
내년도 수도권 입주 물량 감소를 예상하는 가장 큰 이유도 2022년 인허가 물량(14만 415가구)이 평균을 하회했기 때문입니다.
분양업계에선 당분간 입주 물량 감소로 신축 아파트의 희소성이 더 부각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한 분양업계 관계자는 "향후 2~3년간 입주 물량이 급감하는 것은 거의 기정사실"이라며 "여기에 공사비 인상과 조합과 시공사의 갈등 등으로 신축 아파트 공급이 예정보다 늦어질 위험 등이 더해지며 결국 신축 프리미엄이 더욱 치솟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습니다.
(사진=부동산R114,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