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앵커>
요즘 먹거리 물가가 너무 비싸다 보니 장 보는 것조차 겁난단 이야기가 많이 나오는데요. 조금이라도 돈을 아끼기 위해서, 먹는 것까지 정기적으로 구독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습니다.
유덕기 기자입니다.
<기자>
한 창고형 할인점의 푸드 코트, 1만 8천 원짜리 피자 한판을 사려는 소비자가 종이 한 장을 키오스크에 인식시킵니다.
피자 구독권입니다.
9천8백 원을 내면 한 달 반 동안 2주마다 1만 원씩을 할인받을 수 있습니다.
[임학수/피자 구독권 이용 : 할인이 되니까, 피자를 여러 번 먹으면 이익이 많이 남으니까 (피자 구독권을) 구매하게 됐습니다.]
일정 금액으로 정해진 기간 물건이나 서비스를 이용하는 구독 마케팅은, OTT나 가전제품 등에 주로 적용돼 왔는데 먹거리로 확산하고 있습니다.
이 가정에선 정기적으로 과일을 구독합니다.
과일값이 무섭게 오르다 보니 미리 가격을 정해놓고 먹는 게 이득이란 판단에서 입니다.
[김상순/과일 정기 구독 중 : 시중은 오르면 그게 바로바로 좀 적용이 되는 것 같은데 구독을 하는 것이 더 이제 가성비가….]
실제로 신선채소는 지난해 1년 동안 8% 넘게 뛰었고 신선과실은 17.1%나 올랐습니다.
과일, 김치가 주인 이 구독 상품 매출은 1년 전보다 2.4배, 한 백화점의 반찬 구독 상품 이용자는 한해 사이 30%나 늘었습니다.
편의점까지 구독 상품을 내놓고 있는데, 이 편의점은 식사 관련 구독상품이 특히 인기로 전체 가입의 40%를 넘습니다.
[최아영/편의점주 : 밖에서 드시는 (밥값이) 비싸서, 비싸기도 하고 부담스럽기도 하고 그래서 작년보다 (구독 소비자가) 많이 늘어난 것 같아요.]
고객 입장에선 가격 예측 가능성이 생기고 할인을 기대할 수 있고, 기업 입장에선 고객을 일정 기간 붙들어 두면서 다른 상품 구매로 유도할 수 있습니다.
[이민찬/피자 구독권 이용 : 다른 음식으로도 (구독이) 확장이 되면 또 큰 또 물가에 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올해 국내 구독경제 시장은 5년 전의 2배 조금 넘는 수준인 100조 원으로 확대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고물가 시대 먹거리 구독에 대한 관심은 더 커질 전망입니다.
(영상취재 : 설치환·배문산, 영상편집 : 김윤성, 디자인 : 장예은, VJ : 김 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