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뉴스 > 경제

확 올렸다 내릴 땐 찔끔?…"대출금리 오히려 올랐다" 왜

박재현 기자

입력 : 2025.02.24 20:44|수정 : 2025.02.24 22:34

동영상

<앵커>

지난해 말 기준금리가 2차례 인하됐지만, 시중은행 대출금리는 오히려 올랐습니다. 기준금리를 내린 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있는 건데, 금융위원장이 이제는 은행들이 대출 금리를 내릴 때가 됐다고 공개적으로 압박하고 나섰습니다.

박재현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이창호 씨의 은행 대출금리는 지난해 0.08%포인트 내리는 데 그쳤습니다.

지난해 11월과 12월, 2차례 인하로 기준금리가 0.5%포인트 낮아진 것에 비하면 미미합니다.

[이창호/서울 종로구 : 올라가는 건 쉽게 올라가는데 (은행들이 금리를) 왜 안 내리는지 난 이해가 안 가요. 이자 마진으로 해 가지고 엄청난 이익이 창출되고 있잖아.]

실제 5대 시중은행의 지난해 12월 평균 가계 대출금리는 연 4.49~5.17%로, 기준금리를 내리기 전인 9월보다 오히려 올랐습니다.

1%포인트 넘게 오른 은행도 있습니다.

급여 이체 등에 따라 이자를 깎아주는 우대금리를 낮추거나 가산금리를 올렸기 때문입니다.

기준금리 인하 효과를 전혀 기대할 수 없다는 불만이 큽니다.

[권기석/대구 북구 : 민생 경제를 생각해서 기준금리를 정말 어려운 상황에서도 내리는데, 시중은행에서는 거기 정책과 반하게..]

지난해 가계대출이 급증하는 상황에서, 은행들이 감독당국 주문에 맞춰 대출을 조이기 위해 가산금리 인상이라는 손쉬운 대응에 나선 측면이 있습니다.

[하준경/한양대 경제학부 교수 : 대출 쉽게 쉽게 주다가 좀 많다 싶으면 금리 올리고, 이렇게 단순하게 가는 것보다는 애당초 대출 심사를 잘하는 게...]

금융감독원이 시중은행들의 우대금리 적용 현황 점검에 나선 데 이어, 금융위원장은 대출금리 인하를 공개적으로 압박했습니다.

[김병환/금융위원장 : 대출금리도 가격이기 때문에, 시장원리는 작동을 해야 한다. 그런 측면에서 이제는 (기준금리 인하를) 반영할 때가 된 것 같다.]

반면 예금금리를 발 빠르게 내리면서 시중은행의 정기예금 금리는 기준금리보다 낮은 2%대에 형성된 곳도 있습니다.

예대마진 확대에 힘입어 4대 금융지주의 지난해 순이익은 1년 전보다 약 10% 늘어난 16조 4천여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영상편집 : 김진원, 디자인 : 이예지, VJ : 정한욱)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