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뉴스 > 사회

재생 페트 10% 의무화…재활용 이번엔 성공?

장세만 환경전문기자

입력 : 2025.02.21 21:13|수정 : 2025.02.21 22:35

동영상

<앵커>

플라스틱으로 인한 환경 오염을 줄이기 위해 정부가 2년 전부터 페트 원료를 생산하는 기업이 재활용 원료를 의무적으로 사용하도록 했는데, 이게 사실상 실패로 끝났습니다. 환경부가 방식을 바꿔 다시 추진하기로 했는데요.

이번에는 성공할 수 있을지 장세만 환경전문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버려진 페트병을 모아 세척해 잘게 부순 뒤 새 원료와 섞어 만든 페트병이 다시 음료수용으로 쓰입니다.

이른바 '보틀 투 보틀' 재활용입니다.

'보틀 투 보틀'은 반영구적으로 순환이 가능해 가장 효과적인 재활용 방식입니다.

[이진영/한국코카콜라 이사 : (사용 후 페트병이 재활용돼) 다시 음료 페트병으로 돌아오면 반복적으로 재활용되면서 새로운 플라스틱을 덜 사용하게 되고 플라스틱 오염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환경부는 2년 전 페트 원료를 생산하는 석유화학 기업에 재생 페트를 3% 섞도록 의무화했습니다.

하지만 페트병 사용자인 식음료 회사에는 사용 의무가 없어 활성화되지 않아, 실제로는 0.4%에 그쳤습니다.

환경부는 내년 1월부터 유럽과 미국처럼 식음료 기업에 의무 사용량을 부과하고, 재생 원료 비율도 10%로 높이기로 했습니다.

문제는 그동안 재생 페트 자체가 부족했다는 점입니다.

이에 대해 환경부는 식품 용기로도 안전한 재생 페트 확보가 어려웠던 건데, 최근에는 공정이 발전해 공급량이 늘어날 거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정미/환경부 과장 : (내년에 재생 페트) 10% 의무를 도입했을 때 약 2만 톤 정도가 필요하다라고 봤고요. 공급량은 5만 톤 정도로 충분히 공급에는 문제가 없다고 (봅니다.)]

재생이 새 페트보다 50% 정도 비싸, 페트병 비용 때문에 음료 제품 가격이 오를 거라는 우려도 있습니다.

환경부는 업체들이 재생 원료를 쓰면 재활용 분담금을 면제해 주기 때문에, 가격 인상 요인이 되지 않는다는 입장입니다.

유럽과 미국은 이미 올해까지 식품 용기 등 재생 원료 의무 사용 비율을 25%로 올렸습니다.

여기에 더해 전자제품과 화장품에 쓰이는 플라스틱도 재생 원료 의무 사용을 추진 중인 만큼, 우리 제품 수출을 위해서라도 대응을 서둘러야 합니다.

(영상취재 : 최호준, 영상편집 : 최혜란)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