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뉴스 > 사회

"왕복 40만 원" 항공권 치솟고 매진…제주 '직격탄'

입력 : 2025.02.19 17:40|수정 : 2025.02.19 17:41

동영상

 <앵커>

무안공항 제주항공 참사 여파까지 더해지고, 제주행 항공편 공급 좌석까지 줄면서 제주 관광업계에 타격이 커지고 있습니다. 제주자치도가 대한항공과 간담회를 갖고 노선 확충을 공식 요청했습니다.

김지훈 기자입니다.

<기자>

설 연휴가 끝났지만, 제주행 항공권 예약난과 가격 부담은 여전합니다.

지난달 제주 출발 국내선 항공편은 5,870편으로 전년 대비 7.7%나 감소했습니다.

공급 좌석도 지난해보다 10만 석 이상, 이용객도 13만 명 이상 감소하며 국내선 위축이 본격화되는 모습입니다.

국제선은 회복세를 보이지만, 내수시장인 국내선은 정체 국면이라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입니다.

지방 공항발 제주행 항공편이 줄면서 국내선 위축만 가속화되는 상황입니다.

다음 달 연휴를 앞두고 제주행 항공권 가격은 벌써 치솟고 있습니다.

제주발 매진 편이 나오는가 하면, 왕복 30~40만 원대 항공권이 등장하면서 부담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제주자치도가 대한항공과 간담회를 열고 노선 확대를 공식 요청했습니다.

[오영훈/제주자치도지사 : 앞으로도 신규 비행기 등록 시에 제주에 대한 적극적인 활용을 부탁드립니다.]

이에 대해 대한항공은 즉각적인 노선 확대에는 신중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우기홍/대한항공 부회장 : 대한항공만이 아니라 아시아나 자회사 즉 에어부산, 진에어, 에어서울 등 5개 회사가 같이 공동 협조해서 지방발 노선 또 김포발 제주 노선에 대해서 공급을 확충하는 방안에 대해….]

하지만 업계에서는 이런 대형 항공사 중심의 증편이 실제 가격 인하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라고 지적합니다.

[여행업계 관계자 : 항공사 한 군데에서만 증편했다고 그렇게 (요금에) 큰 차이는 없지 않을까요? 두 군데쯤 늘어났으면 조금 내려갈 수 있겠지만 (요금) 올린 것을 내리지는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이다.]

대한항공만을 중심으로 한 해결책은 구조적으로 한계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다는 얘기입니다.

제주자치도가 저비용항공사나 지방공항과 협력을 강화해 노선 다변화를 추진하지 않는다면, 항공권 가격 상승과 좌석난에 따른 도민과 관광객들의 불편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영상취재 : 오일령 JIBS)

JIBS 김지훈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