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앵커>
윤석열 대통령의 불구속 수사를 촉구하고 탄핵심판에서 방어권을 보장하란 권고안을 오늘(10일) 국가인권위원회가 일부 수정 의결했습니다. 이 안건을 대표 발의했던 김용원 상임위원은 "탄핵 심판이 인용되면 헌법재판소를 부숴야 한다"고 주장해 최근 논란이 됐었는데 이에 대해 안창호 국가인권위원장은 재발 방지 대책을 고민하고 있다며 즉답을 피했습니다.
신정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오늘(10일) 오후 서울 중구 국가인권위원회 건물 앞 윤석열 대통령의 '불구속 수사와 방어권 보장' 권고안 의결을 논의할 회의를 앞두고 윤 대통령 지지자들 백여 명이 모였습니다.
[윤 대통령의 방어권과 인권을 보장해 주기를 강력 촉구한다! (촉구한다!)]
이 안건은 지난달 13일 제1차 전원위에 상정될 예정이었지만 시민단체와 야권의 반발 속에 무산됐고, 일주일 뒤에는 윤 대통령 지지자들의 집회 예고로 소요 가능성이 제기돼 회의가 취소됐습니다.
이에 윤 대통령 지지자들이 회의가 정상적으로 열릴 수 있도록 하겠다며 회의 시작 전부터 건물 출입구 곳곳을 점거한 겁니다.
회의가 열리는 14층에도 올라왔다가 경찰의 제지를 받고 내려가기도 했습니다.
[이 시간 이후로 퇴거하지 않으신 분들은 퇴거 요청할 수 밖에….]
당초 예정됐던 탄핵 찬성 측 기자회견은 주최 측에서 충돌이 우려스럽다며 1시간 전 전격 취소, 연기됐습니다.
인권위는 윤 대통령 방어권 보장 권고안을 2시간 넘게 공개 논의한 끝에 일부 주관적 표현을 삭제하는 것을 전제로 수정 의결했습니다.
당초 발의안에 담긴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소추 철회 권고안은 기각됐고, 불구속 수사, 재판 원칙과 관련해선 권고안에 담을 구체적인 표현과 범위를 두고 막판까지 이견을 보였습니다.
자신의 페이스북에 "헌법재판소가 윤 대통령을 탄핵한다면, 헌재를 두들겨 부수어 흔적도 남김없이 없애버려야 한다"고 적어 논란이 인 김용원 상임위원은 자신의 글이 폭력을 선동한다는 비판에 대해 왜곡된 주장이라며 기존 입장을 굽히지 않았습니다.
재발 방지 대책을 요구받은 안창호 국가인권위원장은 "좀 더 고민을 한 다음 말하겠다"며 즉답을 피했습니다.
인권위는 오늘 의결 결과에 따라 빠른 시일 내에 결정문을 작성해 관계기관에 전달할 방침입니다.
(영상취재 : 강시우, 영상편집 : 유미라, VJ : 이준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