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놓치지 말아야 할 이슈, 퇴근길에 보는 이브닝 브리핑에 있습니다.
국회의 내란 혐의 조사를 위한 특위가 오늘(5일)은 현장 조사 형태의 '구치소 청문회'를 시도했지만, 불발됐습니다.
수감된 윤석열 대통령과 김용현 전 국방장관이 청문회에 불응한 겁니다.
그런데, 김 전 장관은 청문회 불응한 날 서울서부지법 폭동 피의자들에게 영치금을 보낸 사실을 공개했습니다.
구치소 청문회 불발
국회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 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국조특위)가 오후에 윤석열 대통령이 수감된 서울구치소로 향했습니다.
현장 조사 형태의 '구치소 청문회'를 위해서였는데, 국민의힘은 윤 대통령의 증인 채택 등을 두고 반발하며 불참했습니다.
특위 차량이 서울구치소 앞에 모습을 드러내자 윤 대통령 지지자 200여 명이 고성과 야유를 쏟아냈습니다.
"탄핵 무효", "이재명 구속" 등의 구호와 함께 "꺼져라" 등의 원색적인 야유도 나왔습니다.
구치소 안으로 들어간 국조특위 야당 의원들은 회의장에서 윤 대통령을 기다렸지만, 윤 대통령은 청문회에 응하지 않았습니다.
특위가 비공개 신문을 위해 수감동까지 찾았지만, 윤 대통령을 만나지 못했습니다.
앞서 오전에는 특위가 김용현 전 국방장관이 수감된 서울동부구치소를 찾아 현장 청문회를 시도했지만, 김 전 장관은 재판 준비와 변호인 접견을 사유로 불응했습니다.
결국 특위의 구치소 청문회는 모두 불발됐습니다.
김용현, 서부지법 폭동 피의자에 '영치금'
김 전 장관은 자신도 옥중에 있으면서 서울서부지법 폭동 사태로 구속된 이들에게 영치금을 보냈습니다.
김 전 장관 변호인은 김 전 장관이 구속 피의자 30여 명의 계좌에 영치금을 입금했다고 전했습니다. 영치금은 김 전 장관이 받은 영치금과 사비를 모아 마련했다고 합니다.
김 전 장관은 변호인을 통해 옥중서신도 공개했습니다.
편지에서 김 전 장관은 서부지법 폭동 피의자들을 '애국 전사', 자신의 지지자들을 '애국 국민'이라고 칭하며 "애국 청년들에게 조금이나마 위로가 되고자 애국 국민들께서 보내주신 소중한 영치금을 이분들과 나누고자 한다"고 적었습니다.
"애국 전사들께 보내는 영치금은 우리 애국 국민들께서 보내는 것이기에 더 큰 의미가 있다"고 의미를 부여하기도 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도 올해 첫날 관저 앞에 모인 집회 참가자들에게 편지를 전달하면서 지지자들을 '애국 시민'이라고 칭한 바 있습니다.
민주 "고발할 것"…국민의힘 "정치 쇼"
구치소 청문회 불발에 대해 야당 의원들은 성명을 내고 "국정조사에 불출석하고 비협조적인 태도로 일관하는 것은 명백한 진상 규명 방해 행위"라고 비판했습니다.
또 "최소한의 양심과 책임감도 내팽개친 윤석열과 그 추종 세력에게 깊은 유감을 표하지 않을 수 없다"고 덧붙였습니다.
국조특위 야당 의원들은 윤 대통령 등을 '국회 모욕죄'로 고발하고, 국정조사 기간을 연장하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습니다.
특위 야당 간사인 한병도 민주당 의원은 '망신 주기'나 '국정조사 불필요'라는 여당의 주장을 일축했습니다.
"피고인 윤석열이나 주요 임무 종사자들이 국정조사를 아예 보이콧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라며 "당사자들이 자꾸 싸우려고 하고, 국론을 분열시키고 국정조사에 임하지 않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라며 화살을 윤 대통령 등에게 돌렸습니다.
반면,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국조특위 활동 기간 연장) 필요성이 전혀 없다고 본다"며 "소위 비상계엄 관련된 부분은 이미 재판이 본격적으로 진행 중이고 국조특위에서 뭘 더 밝히겠느냐. 재탕, 삼탕하는 게 국조특위의 현실 아닌가"라고 특위 활동에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습니다.
특위의 여당 간사인 한기호 의원도 SBS 기자에게 "정치적인 쇼를 하러 구치소 간 것"이라고 야당 의원들을 비판했습니다.
그러면서 "(윤 대통령 등이) 증인으로 나오지 않을 것을 알면서 구치소에 간 것은 정치 공세의 일부로밖에 볼 수 없다"고 했습니다.
(남은 이야기는 스프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