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뉴스 > 국제

미 언론, '관세유예'에 "시장에 일시적 안정성…불확실성은 남아"

유영규 기자

입력 : 2025.02.04 08:27|수정 : 2025.02.04 08:27


▲ 트럼프 미국 대통령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일(현지시간)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한 25% 관세 부과 시행을 하루 앞두고 이를 한 달간 유예한다고 전격 발표하자 미 언론은 이 소식을 긴급히 타전하면서 금융시장이 안도하는 분위기라고 전했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날 오후 "미국은 멕시코·캐나다와 관세를 연기하는 합의를 막판에 타결했다"며 "또 다른 관세 대상인 중국도 트럼프와의 무역 협상을 준비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이런 막판 유예 조처는 "그의 강력한 수입 관세가 실제 시행될지에 대한 의심을 불러일으킨다"고 짚었습니다.

또 언론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교역국에 관세를 부과하는 것 자체를 목적으로 하기보다는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한 협상 전략으로 활용하는 측면이 큰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습니다.

블룸버그 통신은 멕시코·캐나다와의 이번 유예 합의로 '트럼프가 관세를 상대국에 대한 협상 전략으로 보고 있지만 여전히 미국인들에게 경제적 고통을 가하는 것은 꺼리고 있다'는 견해가 힘을 얻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스탠다드차타드은행의 이코노미스트 댄 판도 블룸버그에 "협상 방향과 불확실성은 남아 있지만, 시장은 이번 유예를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위협을 협상 전략으로 쓰고 있다는 신호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CNN은 "트럼프가 약속했던 관세에서 후퇴했다"며 "많은 사람이 트럼프의 관세 정책을 허풍이라고 생각했는데, 아마도 결국엔 그렇게 될 수 있다"고 짚었습니다.

CNN은 또 이날 트럼프 대통령이 "역사상 가장 멍청한 무역 전쟁"이라는 제목으로 관세 정책으로 비판한 WSJ의 지난 주말 사설에 대해 언급한 발언을 전하기도 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WSJ와 폭스뉴스 등을 거느린 미디어 재벌 루퍼트 머독을 초대해 함께 배석한 가운데 기자들에게 "나는 월스트리트저널을 많이 보지만, 어떤 것들에 대해서는 그(머독)에게 동의하지 않는다"며 "여러분은 이것(관세정책)이 멍청한 일이 아니라 모든 국가가 (우리와) 협상하고 싶어 안달이 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미 경제매체 포브스는 "관세가 실제 도입되면 경제 전체를 크게 흔들 수 있었는데, 상황이 반전됨에 따라 이러한 관세가 즉시 시행되지 않게 됐다"며 "시장에 일시적 안정성을 제공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뉴욕타임스(NYT)는 "이번 합의는 두 가까운 동맹국이자 최고 무역 파트너인 국가들과의 치열한 무역 전쟁으로 번졌던 상황을 완화하며 안도감을 가져왔다"며 "앞으로 30일 기간 동안 더 많은 협상이 이뤄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해석했습니다.

다만 이 신문은 "백악관 관계자가 현재로서는 중국산 제품에 대한 추가 10% 관세는 (4일) 자정에 적용될 예정이라고 확인해줬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오늘 아침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향후 24시간 이내에 통화할 것이라고 말했지만, 그 통화가 언제 열릴지는 확실하지 않다"고 전했습니다.

AP통신도 "캐나다와 멕시코가 트럼프 대통령과 관세 유예에 합의했지만, 중국에 대한 관세는 여전히 4일 발효될 예정"이라며 "이런 관세가 더 광범위한 무역 전쟁의 조짐인지에 대해서는 불확실성이 남아 있다"고 전했습니다.

또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가 대부분 발효되지 않거나 단기간에 그칠 수도 있지만, 이런 위협만으로도 세계 시장을 불안하게 하고 공급망 전반에 걸쳐 기업들을 좌절시킬 수 있다"고 짚었습니다.

투자자문회사 트루이스트의 분석팀은 "관세의 지속 기간이나 규모가 명확해질 때까지는 북미 전역의 많은 기업의 공급망과 가격 책정에 불확실성을 야기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사진=AP, 연합뉴스)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