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딥시크 로고와 중국 국기
타이완 정부가 각 부처·기관에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의 서비스 이용 '금지령'을 내렸습니다.
타이완 디지털부는 지난달 31일 공공부문 근로자들에게 딥시크의 AI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중국 정부로 데이터가 유출돼 국가 안보에 위험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며 사용 금지 조치를 내렸다고 밝혔습니다.
디지털부는 성명에서 "딥시크 AI는 중국의 정보통신기술(ICT) 제품이자 서비스로 국경 간 (데이터) 전송, 정보유출, 기타 정보 보안 문제를 수반하며 국가의 정보 보안을 위태롭게 한다"며 "정보 보안 위험을 막기 위해" 이같이 조치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디지털부는 또 2019년 행정원 규정인 '국가 사이버 안보를 위험에 빠뜨리는 제품 사용 제한 원칙'에 따라 정부기관이 국가 안보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ICT 제품 및 서비스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타이완 정부의 딥시크 AI 사용 금지 조치는 중앙 및 지방정부 부처·기관과 공립학교, 국유기업, 기타 준관영 조직의 직원들에게 적용됩니다.
이밖에 중요 인프라 프로젝트와 정부 소유 재단에서 일하는 사람들에게도 금지 조치가 적용된다고 디지털부는 덧붙였습니다.
딥시크 돌풍에 세계 주요국들은 정보 유출 가능성을 경계하고 있습니다.
이탈리아 개인정보 보호 기관 가란테(Garante)는 개인 정보 사용의 불투명성을 들어 지난달 29일부터 딥시크 사용을 차단했습니다.
네덜란드 당국은 딥시크의 개인정보 수집과 관련해 조사에 착수하기로 하고 자국 사용자들에게 딥시크 서비스 사용에 주의하라고 경고했습니다.
영국 정부는 딥시크를 국가 안보 측면에서 살펴보고 있으며 독일 당국 역시 딥시크 앱 규제 가능성을 들여다보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개인정보보호위원회도 딥시크에 개인정보 수집 항목과 절차, 처리·보관 방법을 확인하는 공식 질의서를 발송할 예정입니다.
딥시크는 미국의 대중 반도체 제재에도 최근 압도적으로 저렴한 학습 비용에 미국 빅테크의 AI 모델에 필적하는 추론 성능을 보인 모델들을 잇달아 오픈소스로 공개했습니다.
저비용 고성능 AI 모델 딥시크가 돌풍을 일으키자 미국 기술기업 주가가 고평가 됐다는 우려가 급부상하면서 관련주들이 크게 출렁였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