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사
지난해 2월 전공의들이 정부의 의대 증원 정책에 반대하며 병원을 떠난 후 급감했던 대형병원의 수술 건수가 의정 갈등 이전의 70% 이상 수준으로 회복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보건복지부가 오늘(27일) 발표한 '진료량 모니터링'에 따르면, 이달 2주 차(6∼10일) '빅5' 병원의 수술 건수는 898건으로, 전공의 집단행동 이전인 작년 2월 1∼7일 평시 수술 건수(1,207건)의 74% 수준까지 회복됐습니다.
삼성서울병원, 서울대병원, 서울성모병원, 서울아산병원, 세브란스병원 등 주요 상급종합병원의 수술 건수는 전공의들의 집단사직 여파로 작년 2월 넷째 주 하루 평균 600건까지 급감했다가 점차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달 2주 차 기준, 빅5 병원을 포함한 상급종합병원 47곳과 종합병원 303곳의 평일 일평균 수술 건수는 9,390건으로, 집단행동 이전 9,695건의 97% 수준에 도달했습니다.
특히, 전공의 비중이 낮은 종합병원의 수술 건수가 많이 늘어난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종합병원의 일평균 수술 건수는 집단행동 이전 5,377건에서 감소했으나, 이번 달 2주 차에는 5,975건으로 증가했습니다.
외래 환자 수도 집단행동 이전 수준에 근접했습니다.
지난해 2월 초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의 평일 일평균 외래 건수는 47만 5,847건이었으나, 이달 2주 차에는 45만 9,640건을 기록했습니다.
빅5 병원의 일평균 외래 건수는 4만 4,715건으로, 집단행동 이전의 88% 수준까지 회복됐습니다.
다만 의료계에서는 남아 있는 의료진의 헌신과 희생으로 인해 진료량이 다소 회복된 것처럼 보이지만, 장기적인 지속 가능성에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빅5 병원의 한 외과 교수는 "현재 병원이 돌아가는 것은 남아 있는 의료진이 어떻게든 버티고 있기 때문"이라며 "파행이 더 길어질 경우 이를 감당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현장에서 체감하는 수술 감소 폭은 통계보다 더 크다"며 "일부 회복된 것으로 보일지라도, 장기적으로 이전 상태로 돌아가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