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뉴스 > 사회

설날에 떡국은 우리나라만 먹나?

유영규 기자

입력 : 2025.01.23 07:48|수정 : 2025.01.23 07:48


▲ 떡국

'떡국을 먹어야 한 살을 먹는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떡국은 설날 식탁에서 빼놓을 수 없는 한국인의 대표적인 명절 음식입니다.

김이 모락모락 나는 뽀얀 고깃국물에 하얀 가래떡을 넣고 고명을 올린 떡국 한 그릇은 한 해의 건강과 행복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아 단순한 음식을 넘어선 특별한 전통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가래떡을 썰어서 떡국으로 만들어 먹는 문화는 사실상 우리나라가 유일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일본과 중국도 새해에 떡과 비슷한 재료를 이용해 국을 만들어 먹기는 하지만 한국인들이 먹는 떡국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흔히 떡국은 멥쌀가루로 길게 만든 흰 가래떡을 얇게 썰어 맑은 장국에 끓인 음식을 말합니다.

떡국의 유래와 기원에 대해서는 전승된 기록이 충분하지 않아 정확한 알기 어렵지만, 조선 후기 세시풍속을 담은 '동국세시기', '열양세시기', '경도잡지' 등에서 그 흔적을 찾을 수 있습니다.

이 책들은 떡국이 새해 차례와 아침 식사에 없으면 안 될 음식이며, 손님 접대용으로 꼭 내놓았다고 전하고 있습니다.

당시 떡국은 겉모양이 희어 '백탕'(白湯), 떡을 넣고 끓였다고 해 '병탕'(餠湯) 등으로 불렸다고 합니다.

조선 중기 이식의 '택당집'에도 새해 첫날의 제사상을 차릴 때 병탕과 만두탕을 한 그릇 올린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이보다 앞서 떡국에 대한 기록은 찾기 쉽지 않아 조선 초·중기부터 먹었다는 시각이 있습니다.

중국의 '탕병'(湯餠)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습니다.

구한말 육당 최남선은 '조선상식문잡'에서 '신년은 천지만물의 부활과 신생을 의미하기 때문에 정갈하고 깨끗한 흰 떡과 그 떡으로 만든 국을 먹는다'며 떡국을 상고시대부터 먹었다고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민가에서는 떡국을 먹어야만 나이를 한 살 더 먹는다고 해 아이들에게 '병탕 몇 그릇 먹었느냐'며 나이를 묻곤 했습니다.

조선 후기 실학자 이덕무는 '나이를 먹게 하는 떡'이라는 의미로 떡국을 '첨세병'(添歲餠)이라고 불렀습니다.

오늘날 '떡국을 먹어야 한 살 먹는다'는 이야기는 생각보다 오래된 것입니다.

한국민속대백과사전 등에 따르면 과거 떡국 국물을 우려내는 주재료로는 꿩고기가 으뜸이었습니다.

하지만 일반인들은 꿩고기를 구하기 어려워 닭고기로 국물을 내기도 했고, 여기서 '꿩 대신 닭'이라는 속담이 유래했다는 설이 있습니다.

오늘날은 쇠고기로 만드는 게 일반적입니다.

떡국의 재료도 저마다의 의미가 있습니다.

하얗고 긴 가래떡은 장수를 기원하며 밝게 보내자는 뜻이 담겼습니다.

가래떡을 잘게 자르면 동전 모양과 비슷해 물질적인 풍요를 기원한다는 의미도 있다고 합니다.

희고 뽀얀 떡과 국물은 음양에서 양을 상징해 춥고 어두워 음기가 강한 겨울에 양기를 보충한다고 해석됩니다.

떡국은 사용하는 재료에 따라 지역별로 다양합니다.

경기도·강원도는 떡만둣국을, 충청도는 말리지 않은 떡을 이용해 생 떡국이나 미역 생 떡국을, 전라도는 닭으로 담근 장을 풀어 끓인 떡국을 즐겨 먹었습니다.

경상도는 구운 떡을 사용하거나 굴 떡국을 먹었다고 전해집니다.

제주도는 떡국보다 메밀로 칼국수를 만들어 손님에게 대접하는 풍습이 있었다고 합니다.

북한은 황해도 개성의 조랭이떡국이 대표적입니다.

평안도·함경도는 떡국보다 '복을 싸서 먹는다'는 의미로 만둣국을 먹었습니다.

우리나라와 같은 동아시아 문화권에서는 떡국과 유사한 새해 음식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일본은 새해에 가다랑어포를 우려낸 육수나 미소를 넣은 국에 일본식 떡인 모찌와 각종 재료를 넣은 '오조니'(お雜煮)를 먹는 전통이 있습니다.

국물이 맑고 떡의 식감은 인절미와 비슷해 떡국과는 차이가 있지만, 장수를 기원한다는 의미는 같습니다.

중국은 음력설인 춘절에 북쪽과 남쪽이 즐겨 먹는 음식이 다릅니다.

북쪽은 만두를 주로 먹고, 남쪽은 쌀로 만든 경단 안에 팥이나 검은깨 등의 소를 넣어 삶은 탕위안을 먹습니다.

이 탕위안이 떡국과 비슷한 측면이 있습니다.

한해의 풍요를 기원하는 생선요리도 춘절 식탁에서 빠지지 않는 메뉴입니다.

미국은 콩, 양파, 베이컨, 채소, 쌀 등을 넣고 소금이나 향신료와 함께 볶아 밥과 먹는 '호핑 존'이 대표적인 신년 음식입니다.

콩은 동전을, 채소는 지폐를 의미해 새해를 기원해 부를 기원하는 의미가 담겼습니다.

본래 남부지역 흑인 노예들이 먹던 음식이었으나 남북전쟁 때 미국 전역으로 퍼졌습니다.

영국은 크리스마스부터 연초까지 12일간 '민스파이'를 매일 한 개씩 먹으면 새해에 행운이 온다고 믿는 전통이 있습니다.

스페인은 한국의 보신각 종이 울리듯 각 도시의 광장에서 울리는 12번의 종소리에 맞춰 '우바스 데 수에르'(행운의 포도)라고 불리는 포도 12알을 먹는 풍습이 있습니다.

프랑스의 '갈레트 데 루아', 그리스의 '바실로피타', 멕시코 '로스카 데 레예스' 등은 연초에 행운을 기념하며 먹는 각국의 케이크입니다.

(사진=연합뉴스TV 제공, 연합뉴스)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