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뉴스 > 국제

멕시코, '트럼프 이민 대책' 대응전략 발표…"이미 겪어봤다"

백운 기자

입력 : 2025.01.22 02:00|수정 : 2025.01.22 02:00


▲ 멕시코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대통령

'미국의 남부 이웃' 멕시코 정부가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첫날부터 나온 이민자 추방과 무역협정 재검토 등 일련의 정책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을 속도감 있게 내놓고 있습니다.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대통령은 21일(현지시간) 아침 정례 기자회견에서 "국경에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병력 배치를 강화하는 내용의 트럼프 행정명령은 1기 정부 때와 매우 유사한 내용"이라며 "우리는 이미 그걸 겪어봤고, 그 시기를 살아봤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그러면서 '당신을 포용하는 멕시코'라고 이름 붙인 인도주의적 추방자 수용 정책을 공개했습니다.

로사 이셀라 로드리게스 내무부 장관이 추가로 설명한 이 정책에 따르면 멕시코는 북부 국경을 따라 11개의 송환 포인트를 설치해 미국에서 추방된 이들을 맞은 뒤 이민청·전력청·복지 당국 협의를 통해 공공의료 시스템을 비롯한 기본 생활 안정 프로그램 명단에 통합할 예정입니다.

이어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복지 카드에 일정한 비용(2천 페소·14만 원 상당)을 넣어 지급할 계획이라고 내무장관은 덧붙였습니다.

일자리 알선과 커뮤니티 적응 지원 등도 병행합니다.

과학자 출신의 셰인바움 대통령은 "트럼프 연설이 아닌 행정명령의 내용을 분석하기 위해선 차가운 머리를 유지해야 한다"며 "우리는 헌법을 준수하면서도 인권을 훼손하지 않는 방식으로 사람들을 대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법원 결정 전까지 이민·망명 신청자들을 멕시코에 머물게 하는 미국의 '이민자 보호 프로토콜'(MPP)에 대해선 "2018년 시행했던 것으로, 멕시코는 인도주의적 원칙에 따라 (제3국 출신) 이주민을 대할 것"이라며 "해당 국가 관련 기관과의 소통을 기반으로 이미 만들어 놓은 시스템을 따를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그러면서 "우리는 나름의 방식으로 미국 접경에 도착하는 사람들의 숫자를 크게 줄였다"며, 2023년 12월 19일 1만 2천 명대에서 1년 뒤 4천 명대로 불법 이민자 적발 건수가 줄었음을 보여주는 그래프를 대형 화면을 통해 제시하기도 했습니다.

트럼프 미 대통령이 기존 무역협정 재검토를 지시한 것과 관련, 셰인바움 대통령은 역내 경제블록인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의 경우 "이미 2026년에 이행사항 검토를 하기로 조약 자체에 설정돼 있었다"면서 미국산 무기 밀매를 비롯한 사안 등과 연결해 협의할 것이라고 부연했습니다.

현지 일간 엘피난시에로는 실무팀이 몇 달 전부터 USMCA 구체적인 검토 내용에 대해 살피고 있다면서, '협정 재검토는 새로운 사실이 아니다'라는 입장을 보였다고 전했습니다.

(사진=AP, 연합뉴스)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