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앵커>
지난 바이든 정부에서는 새로 나온 차의 일정 부분은 반드시 전기차여야 한단 규정이 있었는데 트럼프는 그것도 폐기하겠다고 선언했습니다. 그동안 미국에 많은 투자를 해왔던 국내 자동차와 배터리 업계는 그 후폭풍이 어디까지일지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이 내용은 박원경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트럼프 대통령은 2030년까지 미국에서 판매되는 모든 신차의 50%를 전기차로 하겠다는 바이든 전 대통령의 행정명령을 폐기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 대통령 : 그린 뉴딜을 끝내고 전기차 의무 구매제를 폐지하여 자동차 산업을 살리고, 미국의 훌륭한 자동차 노동자들에게 한 약속을 지킬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 전기차 구매를 사실상 의무화하는 불공정한 보조금 폐지를 검토하라는 행정명령을 내렸습니다.
전기차와 배터리 관련 세제혜택의 근거가 되는 IRA, 즉 인플레이션 감축법을 겨냥한 조치입니다.
최대 시장인 미국에서 전기차 확산 속도는 둔화될 수밖에 없게 됐습니다.
지난해 말부터 미국 조지아주에서 전기차 공장을 가동 중인 현대차그룹에도 영향이 불가피하지만, 파장은 제한적일 거란 관측이 나옵니다.
[김경유/산업연구원 연구위원 : (현대차가 미국 공장을) 시장 상황에 따라서 하이브리드 자동차로 대체해서 생산하겠다고 이야기하고 있는 만큼 부정적 영향이 클 것 같지는 않고요.]
다만, 그만큼 국내 생산 하이브리드 차량의 수출 감소와, 부품 업체들의 피해는 불가피할 거란 전망도 있습니다.
[이항구/자동차융합기술원장 : 과거에는 현대·기아차가 미국 내 생산을 늘리면 우리 부품 수출이 늘어났어요. 근데 이 효과도 거의 상당폭 줄어들 가능성이 있죠.]
미국 내 공장 건립을 진행 중인 국내 배터리 3사의 고민은 더 커졌습니다.
[김필수/대림대 미래자동차학부 교수 : (투자금을) 이제 거둬들여야 되는데 보조금과 세제 혜택 같은 것들이 줄어들거나 없어지게 되면은 당장 매출이 없어진다는 뜻이기 때문에.]
트럼프 대통령이 기존 무역 협정에 대해 재검토를 지시하면서 트럼프 1기 때와 같이 한미 FTA 수정을 요구할 가능성도 점쳐집니다.
[안덕근/산업통상자원부 장관 : 불확실성이 투자 계획이라든가 사업을 하는 데 있어서 가장 어려운 부분인데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미국 신 행정부와 소통을 하면서 그런 부분들을 풀어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정부는 업계와 실시간 정보 공유를 통해 공동 대응을 강화하는 한편, 실무대표단을 미국에 급파해 미국 측 조치의 배경과 세부내용을 파악하기로 했습니다.
(영상취재 : 이상학, 영상편집 : 최혜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