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뉴스 > 국제

천년 전 한반도 5배 영토 지배했던 제국…칭기즈칸 유언으로 '폐허' 됐다 [스프]

김민표 D콘텐츠 제작위원

입력 : 2025.01.27 09:02|수정 : 2025.01.27 15:39

[술로 만나는 중국·중국인] 사라진 탕구트 제국을 부흥하려는 '서하왕' - 닝샤·인촨 (글 : 모종혁 중국문화평론가·재중 중국 전문 기고가)


모종혁 중국본색 썸네일
 

지피지기 백전불태! 친중(親中), 반중(反中)을 넘어 극중(克中)을 위한 지식충전소! 진짜 중국을 만나러 갑니다!
 

'동방의 피라미드'로 불리는 서하왕릉의 능탑
지금으로부터 1900년 전 칭하이(清海)성에서 한 유목민족이 출현했다. 그들은 혈통이 티베트·창족 계열이었으나 알타이어계 언어를 썼다.

칭하이 전역과 간쑤성 서부까지인 암도(安都)에서 살았고 6세기까지 원시 씨족사회를 유지했다. 하늘신을 숭배했고 백색을 숭상했다. 주로 야크, 양 등을 유목하면서 사냥을 즐겼다.

죽은 이는 한족처럼 매장하거나 티베트인처럼 조장하지 않고 화장시켰던 탕구트(Tangut·党項)족이다. 7세기 암도 아래의 티베트고원에서 불세출의 영웅이 등장하면서 탕구트족에게 시련이 닥쳤다.

탕구트족은 티베트인에게 밀려 암도를 떠나 흩어져 살아야 했다.
633년에 송첸캄포가 분열된 티베트 부족을 통합하고 라싸(拉薩)에서 티베트의 첫 통일왕국인 토번(吐蕃)을 세웠다. 뒤이어 대군을 이끌고 암도로 쳐들어갔다.

당시 암도에는 선비족이 세운 토욕혼(吐谷渾)이 있었다. 4세기 중엽부터 탕구트족은 토욕혼의 피지배민으로 선비족과 공존했다. 하지만 663년에 토번이 토욕혼을 멸망시키자, 탕구트족은 정든 고향을 떠났다.

그로부터 탕구트족은 당나라에 귀부해서 300여 년간 지금의 간쑤(甘肅)성 동부, 닝샤(寧夏)자치구 전역, 산시(陝西)성 북부 등지에 흩어져 살았다.

유목민족으로서 강건한 탕구트족의 기백을 보여주는 황금 유물
9세기 들어 탕구르족은 내부 역량을 키워나갔다. 당 지방관의 혹정과 한족 상인의 수탈에 대항해 봉기를 일으켰다. 봉기는 실패로 끝났지만, 민족의식을 키우는 계기가 됐다.

875년 황소의 난이 일어나자, 탕구트의 한 부족장인 탁발사공(拓跋思恭)은 반란군을 진압하며 큰 공을 세웠다. 이에 당조는 탁발사공에게 황실의 이 씨 성을 하사했다.

또한 절도사로 삼아 산시성 북부와 내몽골 서남부를 다스리게 했고, 자손 대대로 직책을 세습시켰다. 탕구트족은 당 말기와 오대십국의 혼란기를 틈타 독립 세력으로 커졌다.

서하왕릉 박물관에 전시 중인 개국황제 이원호의 밀랍상
960년 새로운 제국 송나라가 들어섰지만, 탁발사공의 9대손 이계천은 이를 인정치 않았다. 이덕명은 아버지 이계천과 달리 겉으로는 송에 복종하면서 속으로는 부족 통합에 힘썼다.

어느 정도 기틀이 다져지자, 그의 아들 이원호(李元昊)는 독립왕국 건설에 더욱 매진했다. 1033년 독자적인 연호를 채택했고 궁궐을 지었으며 관료제를 정비했다. 1036년에는 고유 문자를 창제해 국서에 담아 반포했다.

1038년에 이원호는 드디어 대하(大夏)를 개국하고 황제의 자리에 오른다. 도읍지는 지금의 인촨(銀川)으로 정했다.

서하는 송나라뿐만 아니라 요나라 대군을 물리쳐 대륙을 삼분했다.
송은 대하가 영토 서쪽에 있다 하여 '서하'라고 불렀다. 송 인종은 서하의 건국을 인정치 않았다. 대군을 출병시켜 서하 토벌에 나섰다.

서하군은 1040년 삼천구, 1041년 호수천, 1042년 정천채 등지에서 송군과 4차례 맞붙어 모두 이겼다. 이원호는 그 여세를 몰아 요나라로 출격했다. 요 흥종도 친히 10만 대군을 이끌고 나왔다.

양군은 지금의 내몽골 중부인 하곡에서 전투를 벌였다. 10만의 사상자가 난 격전 끝에 서하가 승리했다. 이로써 대륙은 송-요-서하가 삼분했다. 1044년 서하와 송은 평화조약을 맺었다.

서하의 왕궁을 장식했던 금수처마. 서하만의 독특한 문화를 보여준다.
서하는 송에게 신하의 예를 취하기로 했으나 매년 송으로부터 은 7만 2천 냥, 비단 15만 3천 필, 차 5만 근 등을 받기로 했다. 또한 국경에 시장을 개설해 무역 거래를 했다.

이처럼 송은 허울뿐인 위신은 지켰고, 막대한 실익은 서하가 챙겼다. 당시 서하는 한반도의 5배가 넘는 큰 영토의 제국이었다.

건국 초 서하는 송의 관제를 모방했으나 차츰 독자 체제를 정비했다. 관직은 크게 문·무관에 상사, 중사, 하사 3계급으로 나눴다. 지방 행정조직은 4부, 11주, 7군, 6현, 8진을 설치해서 제국 통치를 원활하게 했다.

탕구트족이 유목에서 정주민족으로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청동소
경제는 탕구트족의 유목 문화를 기반으로 한족의 농경 문화를 적극 흡수했다. 무엇보다 송과 서역의 중간에 자리 잡은 지리적 이점을 십분 활용했다.

실크로드 중계무역로를 독점해서 상업이 발달하여 국력이 부강해졌다. 이를 통해 서하는 200년 동안 전성기를 누렸다. 경제적 풍요를 토대로 서하는 독창적인 서하 문자와 불교 예술을 창조했다.

서하 문자는 이원호의 명을 받아 개국공신인 야리인영이 주도해 3년 만에 창제했다. 야리인영은 유학에 조예가 깊었는데, 한자의 형식을 참조해 표의문자 5천900여 개를 만들었다.

서하 문자로 조판한 불경. 서하 문자는 서하의 독창성이 남긴 유산이다.
서하 문자는 언뜻 보면 한자와 같지만 내용은 큰 차이가 있다. 회의자와 형성자에 편, 방 등을 결합했다. 따라서 획수가 많아 어떤 자는 40획이 넘는다. 이는 한자를 단순하게 원용했던 거란 문자나 여진 문자와 다르다.

서하는 문자 보급을 위해 각자사를 두었고, 모든 분야를 아우른 법전을 서하 문자로 반포했다. 서하 문자는 서하 멸망 후 한동안 쓰일 정도로 생명력이 끈질겼다.

불교는 서하의 국교였다. 황제는 고승을 국사로 모셨고 국정을 자문했다. 승려를 교육해 배출하는 승인공덕사와 출가공덕사를 설치했다.

서하는 티베트 밀교의 인두신조까지 받아들인 다원적인 문화의 나라였다.
인촨에서 25km 떨어져 있고 허란산(賀蘭山) 동쪽 기슭에 있는 서하왕릉에서 번성했던 서하의 불교를 엿볼 수 있다. 이원호의 묘로 추정되는 3호 능원에서는 사람 얼굴에 새의 몸을 한 인두신조(人頭神鳥)상이 발견됐다.

인두신조는 불경에서 히말라야산맥에 살며 특이한 울음을 낸다고 묘사한 '쟈릴핀가'다. 예부터 중국에서는 극락세계를 오가는 전설의 신조인 '묘음새'로 추앙했다.

서하는 이를 발전시켜 모든 건축물에 인두신조를 장식할 정도로 숭상했다. 서하 불교가 티베트 밀교와 밀접한 관계를 맺었기 때문이다.

이 제단 터에서 매년 죽은 황제를 위한 제사를 지냈다.
서하왕릉은 황제능원 9곳과 귀족 무덤 200여 개로 조성됐다. 황제능원은 각기 독립된 건축 형태다. 네모꼴에 능탑, 제단, 내성, 외성으로 이뤄졌고 북쪽에 앉아 남쪽을 향했다.

능탑은 거대한 흙덩이가 봉분처럼 솟은 팔각추 모양으로, 가장 큰 것은 지름이 34m에 달한다. 본래 능탑은 5층이나 7층의 목조건물로 둘러쌓았다.

그 밑으로 계단식 통로를 뚫어서 황제 시신과 부장물을 매장했다. 서하왕릉은 유목민의 문화 전통 위에 한족 능원의 장점을 흡수하고 불교 예술을 더해 재창조해서 오늘날 '동방의 피라미드'라고 불린다.

몽골군은 서하에 대한 무자비한 학살과 파괴를 감행했다.
이렇듯 서하는 창조적인 문명 위에 마지막 황제 이현까지 10대에 걸쳐 번영을 누렸다. 그러나 13세기 들어 몽골이 발흥하면서 종말을 고했다.

특히 몽골이 서하를 공격하는 과정에서 칭기즈칸이 죽었다. 칭기즈칸은 숨을 거두며 "서하를 섬멸하고 하나도 남기지 말고 죽여버려라"라고 유언했다. 그로 인해 몽골은 이현부터 백성들까지 철저히 도륙했다.

학살과 파괴로 서하는 오랫동안 기록으로만 존재했다. 닝샤에서 서하의 영광을 부흥시키려는 술이 있으니, 1984년에 설립된 서하왕포도주업의 와인 '서하왕'이다.

서하는 스스로 남긴 기록과 유물이 많지 않은 신비의 제국이다.
(남은 이야기는 스프에서)

더 깊고 인사이트 넘치는 이야기는 스브스프리미엄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