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앵커>
트럼프는 기존에 맺은 조약이나 협정을 파기하는 건 물론 동맹국에 대한 강한 압박도 서슴지 않습니다. 이런 트럼프가 이끄는 미국을 전 세계는 이미 한 차례 겪어본 적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앞으로 4년 동안 국제 안보와 질서가 어떻게 요동칠지 이 부분은 김경희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트럼프의 취임 전 선전포고가 가장 먼저 향한 곳은 아메리카 대륙입니다.
국경을 맞댄 멕시코와 캐나다에 25% 관세 폭탄을 예고했습니다.
캐나다 트뤼도 총리는 마러라고까지 찾아갔지만, 미국의 51번째 주라는 조롱만 듣고 끝내 사임했습니다.
중미의 파나마 운하는 돌려달라, 북극권의 그린란드는 사들이겠다며 야심도 드러냈습니다.
그린란드는 동맹국 덴마크 영토이지만 무력행사 가능성까지 언급하며 압박했습니다.
[트럼프 미 대통령 당선인 : (군사적. 경제적 압박 배제할 것인가요?) 그건 약속 못 합니다. 두 사안에 확실히 말하긴 어렵습니다. 경제안보를 위해 필요하다는 것은 말할 수 있습니다.]
대서양 건너 유럽에서는 안보 무임승차 금지를 재차 강조하며 방위비 고삐를 한층 더 틀어쥐었습니다.
[트럼프 미 대통령 당선인 : NATO (북대서양조약기구)는 (GDP 대비) 5%를 내야 합니다. 모두 감당할 수 있어요. 2%가 아니라 5% 를 내야 합니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전쟁은 현재의 점령지를 기준으로 한 종전 협상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앞마당에서 전쟁을 마주하고 있는 유럽 주요국들이 일제히 우크라이나로 달려가 지원을 약속하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각자의 생존 전략을 고심 중입니다.
당장 폴란드와 리투아니아는 방위비 지출을 GDP 대비 5%로 올리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사업가 특유의 협상 기술이라 해도, 트럼프 1기를 경험한 유럽으로서는 방위비 지출 증대를 각오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가자전쟁 휴전 협상 타결처럼 트럼프의 위협이 힘을 통한 평화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한층 더 강해진 미국 우선주의가 어디까지 작동할 것인지, 도무지 알 수 없는 미래에 전 세계가 긴장하며 트럼프 2기 출범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영상편집 : 채철호, 디자인 : 임찬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