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앵커>
중국에 대한 반도체 수출 규제를 강화해 온 미국 정부가 인공지능 개발에 사용되는 반도체에 대한 새로운 수출 통제 조치를 발표했습니다.
중국뿐 아니라 미국 기업, 엔비디아도 반발하고 나섰는데, 국내 반도체 업계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지 홍영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한국을 비롯한 미국의 핵심 동맹과 파트너 국가 18개국에 대해서는 미국 기술이 포함된 AI용 반도체 판매에 제약이 없습니다.
이들 나라에 본사를 두고 '검증된 최종 사용자' 승인을 받으면, 세계 어느 나라에나 AI 반도체 배치가 가능해 데이터센터 설치와 운영이 가능합니다.
반면 중국과 러시아 등 22개 국가에 대해서는 AI 반도체뿐만 아니라, 폐쇄형 첨단 AI 모델의 수출도 금지됩니다.
어느 쪽에도 속하지 않은 국가들은 미국과 협의를 거쳐 최대 10만 개까지 첨단 그래픽처리장치 수입이 가능합니다.
중국이 동남아와 중동 등 제3국에 데이터센터를 지어 AI 역량을 키우거나, 제3국을 우회해 AI 반도체를 수입하는 걸 막기 위한 포석입니다.
[지나 러몬도/미국 상무장관 : 국가 안보와 같이 특별한 경우, 특히 (반도체) 칩과 같은 사안에서는 정부가 개입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중국의 AI 발전 수준에 미국 정부가 느끼는 위기감이 규제 강화의 배경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중국은 다자간 무역 규칙을 명백히 위반한 행위라며 강력히 반발했습니다.
엔비디아가 "전 세계적으로 혁신과 경제 성장을 방해하고 미국의 리더십을 약화할 것"이라고 비판하는 등 일부 빅테크 기업들의 불만도 감지됩니다.
엔비디아의 중국 매출은 전체의 약 17%를 차지하는 걸로 알려져 있습니다.
수출통제 면제 국가에 포함된 만큼,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우리 기업들은 당장의 영향은 크지 않을 걸로 보지만, 전 세계 AI 투자와 교역을 위축시킬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신기훈/무역안보관리원 실장 : 중동이나 아시아 지역 국가에서 AI 관련 프로젝트 같은 것들이 좀 위축이 된다면 우리나라가 제공하던 여러 반도체를 포함한 관련 기술 제휴 제품 수요 감소로 이제 연결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미국의 새로운 규제가 120일의 여론 수렴기간을 거치지만, 트럼프 2기 행정부도 반도체 수출 규제를 유지할 것이라는 전망이 미국 내에서는 우세합니다.
(영상편집 : 정용화, 디자인: 서승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