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제주에서 6천km가량 떨어진 타라와섬에서는 지난 1943년 11월 미군과 일본군의 치열한 전투가 벌어집니다.
당시 해군 군속으로 타라와섬에 강제징용된 제주도민은 30명. 이 중 1명만 가까스로 생존했습니다.
[한양자 / 타라와 생존자 故한공섭 딸 : (일본인들이) 큰 모래사장 같은 곳에서 우리 한국 사람들을 다 조센징이라고 총으로 쏘더랍니다. 다 죽은 것으로 알았는데, 아버지가 깨보니까 병원인데, 어디냐 하니까 하와이.]
태평양 여러 섬에서 노역하던 한국인들 역시 마찬가지였습니다.
[고창석 / 사이판 생존자 故 고한천 아들 : (폭격으로) 배가 침몰하면서 뭐라도 떠 있는 것을 잡았을 것 같아요. 제 생각에는 갑자기 잠수함이 나타나서 포로가 됐다는.]
한국인 강제징용 생존자들은 하와이에 왜 갔을까?
[이덕희 / 하와이 한인이민연구소장 : 남태평양 여러 섬에 있다가 미군하고 일본이 싸움하는데 잡고 보니까 이 사람들이 일본 사람이 아니란 말이에요. 한국인이니까 따로 그 사람들을 하와이로 데려와서...]
하와이의 깊은 계곡.
출입 통제 구역을 지나 입구에 도착했습니다.
하와이에 있던 태평양 최대 규모의 포로 수용소인 '호노울리울리'입니다.
[제이 스테데반트 / 미국 국립 유적지 자원 부서 책임자 : 첫 번째 수용소는 호놀룰루 항구와 가까운 샌드아일랜드에 있었습니다. 이 수용소는 샌드아일랜드에 감금된 모든 수용자들과 태평양에서 데려온 모든 전쟁 포로들을 옮기기 위해 1943년 지어졌습니다.]
이곳은 외부에서 잘 보이지 않는데다, 주변에 물이 많아 많은 사람들을 수용하기에 최적의 공간이었습니다.
이 수용소는 49만 7천여 제곱미터로, 축구장 70개가 넘을 정도였습니다.
구역별로 나눠 국적에 따라 관리가 이뤄졌습니다.
당시 이곳에 머물렀던 한국인은 2천7백여 명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제이 스테데반트 / 미국 국립 유적지 자원 부서 책임자 : 수용소에는 약 4천 명의 전쟁 포로가 있었는데, 그들은 일본인, 독일인, 오스트리아인, 이탈리아인이었습니다. 하지만, 전쟁 포로 중에서 가장 많았던 수용자는 한국인이었습니다.]
이곳에 머물렀던 한국인 포로들이 만든 자유한인보를 보면, 주소가 제주로 표시된 사람 중 타라와섬 생존자 한공섭 뿐만 아니라 고한천, 신응순 등 16명의 명단이 확인됩니다.
[이덕희 / 하와이 한인이민연구소장 : 한국 분들에게는 전혀 공개가 안 됐습니다. (호노울리울리 수용소가) 지난 1948년에 문을 닫았는데 그러고서는 다 잊고 있었어요. 그 사람들이 있었다는 것을 밝혀줄 수 있는 중요한 자리죠.]
당시 하와이에서의 생활과 이들의 한국 귀환 이후 삶에 대해선 여전히 제대로 된 조사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습니다.
아직 많은 부분이 수수께끼로 남아 있는 이곳 하와이 수용소. 이곳의 제주도민에 대한 추가 진상조사는 아직 우리들의 숙제로 남아 있습니다.
(취재 : 김동은 JIBS, 영상취재 : 윤인수 JIBS, 영상편집 : 김종태, 제작 : 디지털뉴스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