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시간제 일자리가 다른 고용형태에 비해 빠르게 증가하고 있지만 근로조건은 여전히 열악해 양질의 시간제 일자리 창출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지난 10년(2014∼2023)간 시간제 근로자의 변화와 시사점' 보고서를 오늘(24일) 발표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시간제근로자 규모는 387만 3천 명으로, 2014년 대비 183만 8천 명(90.3%) 늘었습니다.
같은 기간 정규직 근로자가 96만 3천 명(7.5%) 늘어난 것을 고려하면 시간제근로자 증가 폭은 매우 큰 편입니다.
부문별로는 여성과 고졸 이하, 중소규모 사업체, 서비스산업이 시간제 일자리 증가세를 주도했습니다.
먼저 지난해 시간제근로자의 70.5%가 여성이고, 97.2%가 300인 미만 사업체에 종사했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지난 10년간 증가한 시간제 일자리의 98.5%는 300인 미만 사업체에서 만들어졌는데 같은 기간 정규직 근로자 증가의 65.4%가 300인 이상 대규모 사업체에서 나온 것과 대조적이라고 경총은 전했습니다.
산업별로는 보건업·사회복지서비스업(29만 9천 명→102만 1천 명), 숙박·음식점업(37만 9천 명→62만 4천 명) 등 저부가가치 생계형 산업에서 시간제 근로자가 가장 많이 증가했습니다.
작년 시간제근로자의 학력별 비중은 대졸 이상이 29.8%, 고졸 이하가 70.2%로 조사됐습니다.
이는 정규직 근로자의 학력별 비중(대졸 이상 64.7%·고졸 이하 35.3%)과 대비되는 결과로, 노동시장의 학력별 이중구조화를 시사한다고 경총은 해석했습니다.
지난해 자발적으로 시간제 근로를 택한 노동자 비중은 59.8%로, 2014년 대비 12.1%포인트 늘었습니다.
다만 지난해 양질의 시간제 일자리 수는 54만 5천 개로, 전체 시간제 일자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4.1%에 머물렀습니다.
양질의 시간제 일자리란 고용 안정성이 보장되고, 임금, 복리후생 등 근로조건에 있어 통상 근로자와 차별이 없는 것을 말한다고 경총은 전했습니다.
경총 임영태 고용·사회정책본부장은 "시간제 일자리는 고용 취약계층이 노동시장에 빠르게 참여할 기회이자 일·가정 양립이 중요한 육아기 근로자나 퇴직한 고령자에게 상당히 효과적인 일자리"라며 "시간제 일자리의 질적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사진=한국경영자총협회 제공,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