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앵커>
기후 공동 대응을 위한 UN 기후 총회가 가까스로 합의문을 채택했습니다.
선진국들이 연 421조 원 규모로 기후 재원을 최소 3배 정도 늘리기로 했는데, 개발도상국들은 여전히 불만이 많습니다.
김민준 기잡니다.
<기자>
아제르바이잔 바쿠에서 폐막한 UN 기후 총회의 최대 쟁점은, 기후변화 피해를 줄이기 위해 선진국이 돈을 얼마나 내도록 할 것인가였습니다.
갈등 끝에, 오는 2035년까지 공공 재원으로만 최소 연 3천억 달러, 우리 돈 421조 원을 부담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사이먼 스티엘/유엔 기후변화협약 사무총장 : 모든 국가에 영향을 주는 기후 변화가 악화되는 가운데 이런 새로운 재정 합의는 인류를 위한 보험입니다.]
기존 부담 규모는, 공공과 민간 재원을 합쳐 연 140조 원이었던 만큼 3배 정도 느는 셈입니다.
하지만, '700조 원 부담'을 요구했던 개발도상국들은 합의금에 '최소'란 조건이 붙으면서 일단 합의해주긴 했지만, 못내 마뜩잖단 반응입니다.
[차드니 라이나/인도 협상 대표 : 동원하겠다고 제안된 금액은 매우 적습니다. 미미합니다. 유감스럽게도 받아들일 수 없습니다.]
재원을 갹출하는 선진국 그룹은 미국, 유럽연합 등 20여 개국으로, 우리나라를 포함한 다른 국가들은 재원 부담이 의무는 아닙니다.
중국 등을 선진국 그룹에 포함할지, 또 선진국이 각각 얼마씩 낼지 같은 민감한 문제는 합의되지 못했습니다.
다만, 개별 국가나 기업이 외국에서 감축한 온실가스 실적을 UN의 검증하에 인정받는, '국제적 탄소배출권 거래'를 합의한 건 이번 총회의 성과로 평가됩니다.
[정서용 교수/서울국제법연구원 원장 : 저탄소 기술, 탄소 중립 기술들, 그런 기술을 통해서 새로운 시장을 만들고 거기에 따라서 투자가 이루어지고 일자리 창출을(할 수 있습니다.) ]
'기후협약 탈퇴'를 공언해 온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 전에, 협상을 끝내려던 유럽의 노력이 이번 합의의 원동력으로 평가되는데, 그만큼 글로벌 기후 대응에서 '미국 변수'의 그림자도 커지고 있습니다.
SBS 김민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