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앵커>
세계 각국이 모여 기후위기 해법을 모색하는 UN 기후변화 협약 당사자 총회가 다음 주 아제르바이잔에서 열립니다. 이번 협상 쟁점은 뭐고 우리에게는 어떤 영향을 줄지 미리 짚어봤습니다.
장세만 기후환경 전문기자입니다.
<기자>
오토바이 행렬이 늘어선 캄보디아 수도 프놈펜의 도심.
하나같이 휘발유를 쓰는 터라 온실가스 배출이 심합니다.
이곳에 곧 한국에서 만든 전기 오토바이가 수입됩니다.
내연기관보다 저렴한 데다 대기오염도 줄입니다.
우리나라는 수출만으로 기후위기 대응 성과도 얻습니다.
한국산 전기 오토바이 덕에 캄보디아에서 줄어든 온실가스는, 한국이 감축한 것으로 인정받는 것입니다.
[김성우/캄보디아 진출 전기오토바이 업체 대표 : (캄보디아에 2034년까지) 40만 대 이상을 저희가 판매를 할 목표로 갖고 있고요. 그렇게 됐을 때 80만 톤 정도의 온실가스가 감축됩니다. (그걸) 우리나라에 (감축 성과로) 갖고 들어올 수 있는 거고요.]
보신 것처럼 온실가스 감축량을 다른 나라로 이전할 수 있도록, 9년 전 파리협정에 규정돼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 구체적인 이행 지침이 미합의 상태인데, 이번 아제르바이잔 총회에서는 이게 주요한 의제 중 하나입니다.
우리나라는 탄소 발생이 많은 제조업의 비중이 큰 데 반면 재생에너지 생산은 부족하다 보니, 우리 정부는 이런 해외 감축에라도 매달리는 것입니다.
2030년까지 해외 감축 목표량은 3천750만t.
같은 기간, 국내 산업계의 감축 총량보다 더 많습니다.
기후 대응 재원 확보도 총회의 쟁점입니다.
지난 2010년, 선진국들은 '매년 1천 억 달러씩 갹출'을 약속했는데, 그 효력이 내년까지입니다.
그 이후에는 누가 얼마나 부담할지 새로 정해야 하는데 개도국들은 공공과 민간을 합쳐 6조 달러 규모를 요구합니다.
[최재철/전 기후변화대사 : (신 기후재원 협상의) 달성 연도, 범위 등 모든 쟁점 사안에서 선진국과 개도국 간에 이번 회의에서 합의 목표 연도인 2025년을 앞두고 합의를 해야 된다는 게 쉽지가 않죠.]
이제까지 갹출 대상에서 빠졌던 한국도 부담 책임을 질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이런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당선인 측이 준비해 온 기후 관련 행정명령에 파리 협정 재탈퇴 내용이 담긴 것으로 알려지면서 실행 여부가 주목됩니다.
(영상편집 : 정성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