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뉴스 > 정치

[영상] 교수들까지 떠나면 닥칠 '최악의 상황'?…'2천 명' 타협 없다는 정부 "결과 어떻든 모든 책임은 장·차관이"

진상명 PD , 최희진 기자

입력 : 2024.03.13 17:18|수정 : 2024.03.13 17:40

동영상

의과대학 증원에 반발한 전공의들의 이탈이 4주째 접어든 가운데 의대 교수들의 집단행동 움직임이 가시화되자 정부가 "제자들의 불이익을 막기 위해 사직한다는 것은 사직의 이유가 될 수 없다"며 진료와 교육 현장을 떠나지 않을 것을 촉구했습니다.

그러면서 2000명 증원을 1년 뒤 논의하자는 제안에는 "의대 증원 연기나 규모 축소 등을 전제한 대하는 받아들일 수 없다"면서 "한시라도 늦출 수 없다"고 재차 단호한 입장을 표명했습니다.

박민수 의사 집단행동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제1총괄조정관(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오늘(13일) 정례브리핑에서 "환자 곁을 떠나는 것이 제자를 지키는 것이라는 주장은 국민들이 납득할 수 없을 것"이라며 "교육자로서 책임을 다하기 위해서는 진료와 교육 현장을 떠나서는 안 된다"고 말했습니다.

서울대·연세대·가톨릭대 등 19개 의대 교수 대표들은 어제(12일) 공동 비상대책위원회를 꾸리고 각 대학 교수와 수련병원 임상진료 교수의 뜻을 물어 15일까지 집단사직 여부를 결정하기로 했습니다.

이에 대해 박 2차관은 "제자들의 불이익은 면허에 관한 것이지만 교수님들이 진료 현장을 비우면 환자들에게는 그 무엇보다 소중한 생명이 걸린 일"이라면서 "의사는 어떤 경우에도 환자가 죽음에 이르도록 방치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 의사로서 가장 기본적인 직업윤리"라고 강조했습니다.

다만 "더 적극적으로 대화하고 교수님들의 의견을 경청하겠다"면서도 "대화의 전제로서 증원을 1년 연기를 한다든지, 규모를 축소하라든지 하는 것을 전제조건으로 하는 대화는 받아들일 수 없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정부는 또 내년에 2000명의 의대 정원을 늘린다는 시기와 수치에 대해서는 양보할 수 없다는 뜻을 분명히 했습니다.

전공의 이탈 사태에서 대학 교수와 임상 진료 교수까지 떠나면 최악의 상황이 닥치는데 이에 대한 책임론을 묻자 박 2차관은 "결과가 좋든 나쁘든 그 결과에 대해서는 장·차관이 책임을 지는 것"이라며 "저는 여러 차례 직원들 앞에서 장·차관이 모든 것을 책임 지니까 직원들은 맡은 임무에 최선을 다해 달라고 당부했다"고 말했습니다.

(영상취재 : 최호준 / 구성 : 진상명 / 편집 : 윤현주 / 제작 : 디지털뉴스제작부)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