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뉴스 > 정치

권익위 "행정 · 심의위원회에 민간 위원 청년 참여 확대"

정혜경 기자

입력 : 2024.01.25 13:16|수정 : 2024.01.25 13:16


국민권익위원회는 중앙행정기관과 광역자치단체, 공직유관단체의 행정·심의위원회에 청년 세대가 더욱 많이 참여하도록 권고했다고 오늘(25일) 밝혔습니다.

현재 중앙부처와 지자체, 공직유관단체는 소관 사무에 대해 자문·심의·의결을 하기 위해 여러 구성원으로 이뤄진 합의제 기관인 행정·심의위원회를 총 4천900곳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들 위원회에는 민간 위원 6만 4천 명을 포함해 위원 총 8만 7천 명이 활동하고 있는데 위원 구성은 민간 위원 73%, 공직자 27%입니다.

권익위는 그간 행정·심의위원회 운영 과정과 위원 구성에서 객관성이나 공정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며.

비영리 민간 단체가 추천한 인사를 위원으로 위촉할 수 있는데 이런 추천 단체 중 실제 존재하지 않거나 활동하지 않는 사례가 3천700여 건 확인됐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권익위는 행정·심의위원회 위원 구성에 전문성과 투명성을 높이고 운영을 공정하게 하도록 하는 제도 개선안을 13개 중앙부처와 17개 광역자치단체, 65개 공직유관단체에 권고했습니다.

또 청년 세대의 위원회 참여가 미흡하다고 보고, 각종 위원회 위원 10분의 1 이상을 청년이 우선 참여하도록 했습니다.

위원 수가 100명 이상인 위원회부터 민간 위원을 공개적으로 모집하고, 존재하지 않거나 활동하지 않는 비영리 민간 단체가 추천한 민간 위원이 위촉되지 않게 검증을 강화하도록 했습니다.

또 같은 위원이 동일 위원회에 최대 6년을 넘어 위촉되지 않게 제한하고, 3개 위원회에 초과 위촉되는 일을 방지하기 위해 중복 여부를 사전 점검하게 했습니다.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