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앵커>
원전 주변에 둘러싸인 울산이지만, 국비 지원이 없는 탓에 방사능 방재 인프라는 열악하기 그지없습니다. 울산 중구 등 전국 원전 동맹이 토론회와 주민 서명운동을 통해 원자력안전교부세 신설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습니다.
배대원 기자입니다.
<기자>
방사능 사고가 날 경우 주민들에게 신속히 보급해야 할 방재 물품, 그런데 폭우가 내리면 물에 잠길 수 있는 배수장 창고에 임시로 쌓아놨습니다.
확보된 양도 중구민 21만 명에게 보급되기에는 턱없이 부족합니다.
주민용 보호구는 1천800여 개만 구비하는 데 그쳤고 주민들이 방사능에 누출될 경우, 중증도를 판단할 피폭량 측정 기계는 50여 개에 불과합니다.
모두 원전 인근 지자체에 국비 지원이 전무하기 때문에 벌어진 일들입니다.
기본적인 대피로와 완벽한 대피소 구축조차 희망 사항입니다.
[박진모/울산 중구 안전총괄과 계장 : 적절하게 생활할 수 있는 환경적인 요건이 갖춰져야 되는 대피소도, 저희는 따로 없습니다. 그냥 다중이용 시설로 지정을 해놨을 뿐이지. 그런 전문시설도 이왕이면 갖춰졌으면 하는 게 (저희 바람입니다.)]
열악한 상황을 개선하고 주민 안전 확보를 위해 전국 원전 인근 지자체가 원자력안전교부세 신설을 촉구하는 이유입니다.
이를 위해 국회 국민동의청원를 진행했지만, 소관 상임위원회에 회부되는 기준인 5만 명을 넘기진 못했습니다.
울산 중구 등 전국원전동맹은 100만 주민 서명 등을 통해 동력을 다시 확보할 계획입니다.
원자력안전교부세 신설을 위한 정책토론회는 오늘(2일) 국회에서 열립니다.
토론회에서 지역 국회의원들과 지자체들은 원전 안전 정책연대 협약을 맺고 공동성명서를 발표할 예정입니다.
(영상취재 : 김영관 UB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