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뉴스 > 사회

서울 1인 가구 빅데이터 분석해보니…노년층 고립 위험 커

유덕기 기자

입력 : 2022.08.29 15:47|수정 : 2022.08.29 17:33


서울의 1인 가구는 전체 가구 대비 36.8%를 차지해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지난 2010년 20.5%였던 서울 1인 가구 수는 10여 년 사이에 17% 증가했습니다.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1인 가구의 생활 특성과 관련해 서울시가 서울시립대와 SKT와 함께 통신데이터 등을 종합해 분석한 자료를 내놨습니다.

그 결과 나이, 성별, 행정동 등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서울 1인 가구 빅데이터 분석해보니..노년층 고립 위험 커먼저 세대에 따라 1인가구 밀집지역과 밀집도가 달랐습니다. 

세대 무관하게 1인 가구 수가 많은 행정동은 강남구 역삼1동, 광진구 화양동, 관악구 청룡동 순이었습니다. 
 

"세대에 따라 행정동별 1인 가구 밀집지역 및 밀집도가 달라"


2030 1인 가구 밀집지역
▲ 2030 1인 가구 밀집지역

이를 세대별로 나누면 20~30대 청년층이 몰려사는 곳은 광진구 화양동, 강남구 역삼1동, 관악구 청룡동 순으로 대학가나 회사 주변이 특징입니다.
▲ 4050 1인 가구 밀집지역

40~50대 중장년은 강남구 역삼1동, 강서구 화곡1동, 중랑구 중화2동 순으로 많은 걸로 나타났습니다.

보통 같은 세대 2인 이상 가구는 아파트 중심의 거주를 하는데 비해, 이들은 이 일대 다세대·다가구 주택에 거주하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청년·노년 1인가구의 경우 임대아파트 등 주거지원 정책 대비 40-50대 1인가구 주거지원은 사각지대로 지적되어 왔습니다. 
서울 1인 가구 빅데이터 분석해보니..노년층 고립 위험 커
세대별 거주지역과 1인가구 거주지를 비교한 결과 40대의 차이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습니다. 

40대가 가장 많이 거주하는 행정동은 양천구 신정3동, 은평구 진관동, 양천구 목5동 순이었습니다. 

이런 차이는 앞으로 심화 분석이 필요하다는 게 서울시 설명입니다. 
▲ 60대 이상 1인 가구 밀집지

60~70대 노년층의 경우 강서구 등촌 3동이 가장 많이 몰려 사는 곳이었습니다. 

이들은 강북, 도봉, 노원구에서의 밀집도가 크게 높았습니다. 
▲ 1인 가구 세대·성별 통화대상자 수

통신데이터를 통해 1인 가구의 외부와 소통상황도 엿볼 수 있습니다. 

연령, 성별로 평균 통화 대상자수를 뽑아보니 4050 남성의 통화대상자 수가 가장 많은 편이었습니다. 

업무상의 이유일 거라는 게 서울시 추정입니다. 
▲ 1인 가구 세대·성별 휴일 총 이동 횟수

평균 휴일이동 횟수도 파악했봤는데, 69세 이하에서는 연령별로 고르게 나타납니다. 

▲ 1인 가구 세대·성별 동영상 등 이용 횟수

동영상이나 방송 서비스 사용 횟수는 30대 이후로 하락하기 시작합니다.
 
그런데 위의 통화, 휴일이동, 동영상·방송 서비스 사용횟수 등을 살펴보면 70대 전후 노령층의 하락세가 눈에 띕니다.

사회적으로 고립될 위험성이 커지는 것입니다. 
▲ 1인 가구 세대·성별 배달서비스 접속 건수

배달서비스 이용은 젊은 세대인 25-34인구가 가장 많습니다. 

이와 함께 60~64세를 기점으로 소폭 상승세를 보이기도 했습니다.
서울 1인 가구 빅데이터 분석해보니..노년층 고립 위험 커행정동별 배달서비스 접속건수가 많은 곳들은 1인가구 밀집지역과 겹칩니다. 

한달 기준 관악구 신림동 월평균 18.4회, 강남구 논현1동 18.1회, 강남구 역삼1동 17.6회 순입니다. 
서울 1인 가구 빅데이터 분석해보니..노년층 고립 위험 커위 분석은 서울시가 지난 3월부터 5월까지 1인 가구를 포함한 300만 명의 가명 데이터(누구인지 알수 없도록 처리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입니다. 

서울시는 이 데이터를 1인가구 정책 수립과 추진에 활용할 계획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서울열린데이터광장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고, 서울시는 월 단위로 갱신된 데이터를 매월 20일쯤 올릴 계획입니다.

( 화면제공 : 서울시 )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