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뉴스 > 경제

올해 무역 1조 달러 달성 '빨간불'…10월까지 7천980억 달러

유영규 기자

입력 : 2020.11.11 08:02|수정 : 2020.11.11 08:02


올해 우리나라의 무역액 1조 달러 달성이 쉽지 않을 전망입니다.

코로나19 장기화와 미중 무역 갈등 여파로 세계 교역 여건이 악화하면서 수출과 수입 모두 예년만 못한 탓입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올해 1∼10월(잠정치) 수출액과 수입액을 더한 무역액은 7천980억 달러로 집계됐습니다.

작년 같은 기간(8천715억 달러)보다 735억 달러, 8.4% 감소했습니다.

수출액은 4천158억 달러, 수입액은 3천822억 달러였습니다.

올해 연간 무역액이 1조 달러를 돌파하려면 11∼12월 무역액이 2천20억 달러를 넘어야 합니다.

지난해 11~12월 무역량은 1천741억 달러였습니다.

남은 두 달간 최소한 작년 실적을 훨씬 뛰어넘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우리나라는 2011년 처음으로 연간 무역액 1조 달러를 돌파한 뒤 4년 연속 기록을 이어갔으나 2015년과 2016년에는 달성에 실패했습니다.

그러나 2017년부터 2019년까지 3년 연속 1조 달러 기록을 세웠습니다.

올해는 현 추세라면 1조 달러 수성은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최근 수출이 회복세를 보이는 것은 그나마 긍정적입니다.

올해 수출은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으며 지난 3월부터 6개월 연속 마이너스 행진을 하다 9월에서야 7.6% 증가로 돌아섰습니다.

10월에는 다시 3.6% 감소했지만, 총수출액은 9월 480억 달러에 이어 450억 달러를 기록하며 두 달 연속 400억 달러를 웃돌았습니다.

수입액은 코로나19 이후 큰 폭의 감소세를 이어가다 9월 1.6% 증가로 돌아선 뒤 지난달에는 다시 5.8% 감소했습니다.

총 수입액은 지난 3월 418억 달러를 기록한 이후 줄곧 400억 달러를 밑돌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수입액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원유·액화천연가스(LNG) 등 에너지 수입액이 유가 하락 등의 영향으로 감소한 탓입니다.

무역업계 관계자는 "수출이 조금씩 살아나고 있지만, 무역액이 1조 달러를 넘으려면 수출과 동시에 수입도 함께 늘어나야 한다"면서 "최근 저유가 기조 등을 고려했을 때 1조 달러 달성은 어려울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지난 6월 한국은행도 올해 우리나라 무역 규모를 9천500억 달러로 전망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