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일 아세안 한중일 외교장관회의아세안에 참석한 (왼쪽부터) 고노 다로 일본 외무상, 왕이 중국 외교부장, 돈 쁘나뭇위나이 태국 외무장관, 강경화 외교부 장관
미국과의 무역전쟁을 치르는 와중에 역내 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RCEP)과 한·중·일 자유무역협정(FTA)을 추진하는 중국이 협정 타결을 위해 한일 갈등의 중재에 나설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와 홍콩 매체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내일부터 22일까지 베이징 외곽에서 열리는 9차 한·중·일 외교장관 회의를 앞두고 중국 측 전문가들을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습니다.
글로벌타임스는 천여우쥔 상하이 국제문제연구원 부연구원과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한 논평을 통해 중국의 적극적인 중재 역할을 요구하는 학계 목소리가 있다고 전했습니다.
역내 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RCEP)은 한·중·일과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호주, 뉴질랜드, 인도 등 16개국이 참여할 예정인 대형 FTA입니다.
이 협정이 성사되면 전 세계 인구의 48.7%, 국내총생산(GDP) 총합의 29%를 포함하게 됩니다.
중국으로서는 미국의 관세 인상 등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면서 시장을 넓힐 기회이기도 합니다.
글로벌타임스는 한일 갈등 이전까지 협정을 위한 협상에서 가장 큰 우려 사항은 선진국과의 격차를 우려한 인도의 입장이었으며 한일 간 관세 협상은 순조로웠다고 평가했습니다.
하지만, 한일 갈등으로 당초 목표로 했던 올해 말 협상 타결을 확신할 수 없게 됐다는 것입니다.
글로벌타임스는 또 지난해 기준 한·중·일의 경제적 가치 총합이 20조 9천500억 달러로 유럽연합(EU)을 이미 넘어섰고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에 근접했다면서, 한·중·일 FTA 협상도 한일 갈등으로 부정적 영향을 받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보호무역주의 압력이 커지는 가운데 중국이 3자, 양자 틀 안에서 한일 갈등의 중재자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봤습니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역시 한일 갈등이 고조될 경우 중국이 자국의 전략적 이익을 증진할 것이라는 관측과 달리, 적극적인 중재에 나설 수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중국의 최우선 관심 사항은 역내 안정이라는 것입니다.
황다후이 인민대 교수는 한일 간 긴장 고조는 3자 협력을 위태롭게 할 수 있다면서 중국은 3자 협력이 한·중·일에 더 큰 이익이라는 점을 양국에 납득시키려고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도쿄 올림픽을 1년 앞둔 시점에서, 한국이 아닌 중국을 최우선 경쟁 상대로 보는 일본이 한국과의 갈등을 더 악화시키려고 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이어 한·중·일 외교장관 회의는 한국과 일본에 더욱 품위를 지키면서 물러설 기회를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