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뉴스 > 정치

문정인 "日, 한국 정권 바꿔보겠다는 것…내정간섭과 마찬가지"

박하정 기자

입력 : 2019.07.21 16:27|수정 : 2019.07.21 19:00


문정인 대통령 통일외교안보특보가 최근 일본의 경제보복 사태와 관련해 "일본의 마음에 들지 않는 한국 정권에 대해 '바꿔보겠다, 바꿔보고 싶다'라는 것이 있는 것 아닌가"라며 "이는 내정간섭과 마찬가지인 것이 아니냐"고 말했습니다.

문 특보는 지난 18일 더불어민주당 김한정 의원 주최로 경기도 남양주 진접푸른숲도서관에서 열린 토크콘서트에서 학자로서 일본 의도를 추정하는 것이라고 전제한 뒤 이렇게 언급했습니다.

문 특보는 이 자리에서 "일본의 보수 세력은 문재인 정부를 '혁신정권'이라고 한다"면서, 일본에서의 혁신정당은 사회당이나 공산당을 뜻한다고 설명했습니다.

"결국 '문재인 정부는 혁신정권이고, 그렇기 때문에 친북·친중을 하고, 그래서 반일·반미를 하는 정권'이라는 프레임을 씌워놨다"고 지적했습니다.

문 특보는 문 대통령이 지속적으로 역사 문제는 쉽게 해결이 안 되니 시간을 두고 천천히 풀되 북한 핵 문제나 중국 부상 문제, 경제 협력 등은 항상 협의하자고 해 왔다며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역사 문제 등이 해결이 안 되면 한일 관계도 정상적으로 갈 수 없다고 얘기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니 문 대통령도 짜증이 날 만하지 않느냐고 부연하기도 했습니다.

문 특보는 이어 "후지TV 논설위원이 '문 대통령을 탄핵해야 한일 관계가 좋아진다'고 했다"며 "말이 되느냐"고 반문했습니다.

그러면서 아베 총리 입장에서는 결국 문재인 정권을 바꿔야만 한일 관계가 잘된다고 생각하는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문 특보는 "이번 싸움의 본질은, 일본은 1965년 한일청구권협정을 예로 들며 한국이 국제법을 지키지 않는 '나쁜 나라'라고 하는 것이고, 한국 정부는 강제징용 대법원 판결을 근거로 '국가가 피해자 위에 있을 수 없다'고 하는 것"이라고 요약했습니다.

특히 "문 대통령은 '피해자 중심주의'를 절대 양보하지 못하겠다는 입장"이라며 "문 대통령이 변호사일 때 이 문제를 다룬 바 있어서 피해자들의 어려움과 고초를 누구보다 잘 안다"고 전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