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뉴스 > 국제

美 의회 '대북제재 강화론' 재점화…"트럼프, '트윗 외교' 안돼"

김혜민 기자

입력 : 2019.05.07 01:14|수정 : 2019.05.07 01:14


북한의 '단거리 발사체' 발사를 계기로 미국 의회 내에서 대북제재 유지 및 강화 요구 등 강경론이 재점화하고 있어 실질적인 입법으로 이어질지 주목됩니다.

상원 외교위 산하 동아시아·태평양소위원장인 공화당 소속 코리 가드너(콜로라도) 상원의원은 북한의 단거리 발사체 발사 이후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북한은 미국의 국가 안보에 대한 명백하고도 현존하는 위험"이라며 "우리가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한반도의 비핵화(CVID)를 이른 미래에 평화적으로 달성하려고 한다면 최대 압박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민주당에서는 제재 강화와 함께 북미간 실무협상 채널 가동 및 정상회담 전 철저한 사전 준비 등 기존의 톱다운식 북미 협상 방식의 개선 주장도 나오고 있습니다.

마키 상원의원은 북한의 발사체 발사와 관련해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이번 미사일 실험은 북한이 핵 무기 및 그것들을 운반할 수단을 갖고 있다는 걸 다시 한번 환기해준다"며 "김(정은) 정권은 가능한 한 빨리 실무협상 테이블에 앉아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민주당 대선주자인 에이미 클로버샤(미네소타) 상원의원은 CNN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외교정책을 트윗으로 해선 안 된다"며 트럼프 대통령의 대북 접근법을 비판했다고 의회 전문매체 더 힐이 보도했습니다.

클로버샤 상원의원은 "매우 매우 하기 힘든 일이긴 하지만, 차분하게 해 나가야 한다"며 "단지 날아가서 아무런 결과도 얻어내지 못한 채 돌아오는 정상회담이 아닌, 결과를 낼 수 있는 정상회담을 열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