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뉴스 > 경제

작년 가계 고정금리 대출 비중, 7년 만에 최저

김혜민 기자

입력 : 2019.02.09 09:28|수정 : 2019.02.09 09:28


은행 가계대출 가운데 고정금리 비중이 7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내려갔습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정책금리 인상 속도 조절, 경기 둔화 우려로 금리가 앞으로 더 오르지 않을 것 같다는 인식이 확산하며 과거보다 고정금리 매력이 떨어진 것으로 분석됩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예금은행 가계대출 가운데 고정금리 비중은 27.5%였습니다.

1년 전보다 8.1%포인트 떨어진 것으로, 2011년(18.0%) 이후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

금융당국이 금리 변동 위험에 대응하기 위해 시중은행에 고정금리 대출 비중 확대를 권고해왔으나 반대 현상이 빚어진 셈입니다.

지난해 당국이 제시한 은행 고정금리 대출 비중 목표는 전년보다 2.5%포인트 상승한 47.5%였습니다.

한은 관계자는 "고정금리는 주로 장기물이 많은데, 금리 인상기에는 장기물의 금리 인상 폭이 단기물보다 커 단기물·변동금리 대출 선호도가 높아진다"며 "단기·변동금리 위주로 대출이 늘어나며 장기·고정금리 대출은 줄어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금리 인상기이긴 했지만 앞으로 금리가 더 오르긴 어렵다는 관측 때문에 차주들이 고정금리 대출을 덜 받았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금리 인상기 초기에는 고정금리가 차주들에게 이득입니다.

당장 금리 수준 자체는 고정금리가 변동금리보다 높지만 앞으로 금리가 더 오르면 장기적으로는 상승 가능성이 큰 변동금리보다 일정 수준에서 금리가 유지되는 고정금리가 더 낫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지난해에는 미국의 금리 인상 속도가 늦춰질 것으로 전망되고, 국내 경기 둔화 우려가 커지면서 금리 인상기도 거의 끝나가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점차 확산했습니다.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