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뉴스 > 국제

"매장 대신 화장하라"…관 때려 부수는 중국 공무원들

유영규 기자

입력 : 2018.07.31 14:55|수정 : 2018.07.31 17:21


심각한 묘지난을 해결하기 위해 화장 문화를 강제보급하려는 중국 당국의 정책이 저항에 부닥치고 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보도했습니다.

이 신문에 따르면 중국 장시 성은 올해 들어 매장 방식의 장례를 0%로 만든다는 목표 아래 성내 각 지역에서 주민들이 보관하고 있는 관을 사들이는 정책을 펴고 있습니다.

주민들이 자신의 향후 장례를 위해 보관한 관을 당국에 주면 그 대가로 2천 위안(약 33만 원)의 보상금을 받습니다.

이 정책에 따라 장시 성 내 가오안 시에서만 5천800개 이상의 관이 회수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이 정책에 저항하는 주민들도 적지 않습니다.

정부 보상금이 2천 위안으로 통상 관을 사는 데 드는 5천 위안보다 훨씬 적은 데다, 관을 사서 집에 보관해 두면 장수와 행운을 누릴 수 있다고 믿는 주민들이 많기 때문입니다.

장시 성의 공무원들은 관 매입에 반대하는 주민들에는 강경한 태도로 일관하고 있습니다.

관을 강제로 압수하는 것은 물론, 극렬하게 저항하는 주민들 앞에서 관을 때려 부수는 일조차 서슴지 않습니다.

심지어 지난 4월에는 화장 정책을 어기고 매장을 강행한 한 가족의 묘지를 찾아가 시신을 묘지에서 파내기까지 했습니다.

이러한 강압적인 정책에 중국 관영 매체까지 비판의 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관영 매체인 인민일보는 사설에서 "이처럼 야만적인 조처를 할 필요가 있느냐"며 "주민들의 마음을 아프게 하고 당국에 대한 신뢰를 잃게 만드는 방식으로 장례 문화를 개혁하면 사회 불안을 불러올 수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중국 당국이 이처럼 강경하게 화장 정책을 고집하는 이유는 매장 선호 문화가 심각한 묘지 부족 사태를 불러온다는 인식 때문입니다.

한해 1천만 명에 가까운 사람이 사망하는 중국에서는 묘지난으로 면적이 1㎡로 제한된 납골묘 가격마저도 천정부지로 뛰어오르고 있습니다.

중국에서 묘지가격이 가장 높은 상하이의 고급 납골묘 가격은 30만 위안(약 5천만 원)에 달할 정도입니다.

중국 당국은 2020년까지 화장률 100%를 달성한다는 목표 아래 수목장, 화단장, 해장 등의 친환경 장례를 보급하지만,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습니다.

중국인들의 뿌리 깊은 매장 선호 의식으로 중국의 화장 비율은 2005년 53%에서 2015년 47%로 되레 떨어졌습니다.

2014년에는 관을 압수하려는 당국 조치에 반발해 안후이 성에서 노인 6명이 자살하기도 했습니다.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