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뉴스 > 정치

6·13 지방선거 공식 선거전 막 오른다…내일부터 13일간 열전

권태훈 기자

입력 : 2018.05.30 05:59|수정 : 2018.05.30 09:10


6·13 지방선거 및 국회의원 재보선 공식 선거운동의 막이 올랐습니다.

지방선거 및 국회의원 재보선 출사표를 던진 후보들은 31일부터 다음 달 12일까지 13일간 한 치의 양보 없는 열띤 경쟁을 펼치고, 여야 주요 정당들은 일제히 선거체제로 전환한 상태입니다.

이번 지방선거에서는 전국적으로 광역단체장 17명과 교육감 17명, 기초단체장 226명, 광역의원 824명, 기초의원 2천927명, 교육의원(제주) 5명 등 모두 4천16명의 지역 일꾼이 선출됩니다.

여기에 국회의원 재보선도 '미니 총선' 수준으로 전국 12곳에서 열립니다.

지난 24~25일 이틀간 진행된 후보등록 결과 지방선거 출마자는 9천317명으로, 평균 2.3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습니다.

17명을 선출하는 광역단체장 선거에는 71명이 후보등록을 마쳤습니다.

또한 12곳의 국회의원 재보선에는 46명이 후보로 등록, 3.8대 1의 평균 경쟁률을 보였습니다.

이번 선거는 문재인 정부가 지난해 5월 출범한 후 처음 진행되는 전국 단위 선거로, 문재인 정부의 지난 1년 국정운영 성과를 국민에게 평가받는 첫 심판대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각 후보 간 경쟁 못지않게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지난해 대선에서 정권을 내준 제1야당 자유한국당, 대안 정당을 앞세운 바른미래당, 민주평화당, 정의당도 치열하게 격돌할 전망입니다.

공식 선거전은 여당인 민주당의 우위 판세 속에 개막했다는 게 정치권 안팎의 대체적인 분석입니다.

민주당이 주요 격전지 등을 승리로 이끌며 지방선거에서 압승을 거둘 것이라는 전망도 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과 민주당의 지지율이 각각 70%대, 50%대를 유지하고 있는 데다, 4·27 남북정상회담에서 시작된 한반도 평화 무드가 지방선거를 비롯해 모든 이슈를 집어삼키고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선거 전날인 6월 12일 한반도 비핵화의 '최대 관문'이라 할 수 있는 북미 정상회담이 성사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이번 선거는 '한반도 훈풍'의 한복판에서 치러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

민주당은 개혁과제 실현을 위해 중앙권력에 이어 지방권력 교체 필요성을 강조하는 동시에 '평화 대 반(反)평화 세력'이란 구도를 부각, 중앙정치의 여소야대 한계를 극복하겠다는 각오입니다.

반면 한국당은 경제 실정론 등을 앞세워 정권 심판 및 견제 심리를 자극하고 있고, 현 여권에 중앙권력에 이어 지방권력까지 통째로 몰아주면 민주주의의 기본 원칙인 '견제와 균형'의 원리가 작동하지 않게 된다면서 지지를 구하는 모습입니다.

바른미래당과 평화당, 정의당 등은 민주당과 한국당 양당 독점 폐해를 강조하면서 활로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이번 선거의 희비는 수도권과 부산·울산·경남 승부에서 극적으로 교차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부산·경남(PK)을 한국당이 지키느냐, 아니면 민주당이 빼앗느냐가 선거 결과 전체를 좌우하는 의미를 가질 거라는 전망입니다.

따라서 민주당과 한국당 모두 PK 승부에 전력을 집중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민주당이 17곳 광역단체장 기준으로 '9+알파(α)'를, 한국당이 '6+알파(α)'를 대외적 목표로 세운 가운데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양측 모두 PK에서 승리를 거둬야 하는 상황입니다.

이번 지방선거 및 재보선 결과에 따라 여야 지도부의 교체는 물론, 정계개편까지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