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뉴스 > 국제

미 언론 "김정은 '단계별·동시적 조치' 요구, 워싱턴에 경고음"

한승구 기자

입력 : 2018.05.09 03:21|수정 : 2018.05.09 03:21


미국 언론들은 현지시간 8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재방북으로 인해 고조된 북·중 밀월관계가 다가올 북미정상회담에 미칠 여파를 예의주시했습니다.

북한이 미국과의 비핵화 담판을 앞두고 중국의 지원을 확보해 협상력을 강화하는 한편으로 협상 실패 시 출구를 대비하려 한다는 해석을 내놓는가 하면, 김 위원장이 '단계별·동시적' 비핵화 해법을 재확인함에 따라 이후 북미 간 비핵화 협상의 장애물이 될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했습니다.

김 위원장이 중국 측에 제재완화를 직접 요청했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습니다.

워싱턴포스트는 김 위원장의 '단계별·동시적 조치' 발언을 두고 "김정은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긴장 완화를 위한 동시적 조치들을 요구할 것이라는 의심을 증폭시키면서 워싱턴에 경고음을 울릴 수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어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북한이 미국으로부터 큰 양보를 얻어내지 않고는 그토록 열심히 추구했던 핵무기 프로그램을 쉽게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는 회의론이 있다"며 "이 '양보'에는 주한미군 축소도 들어갈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그 연장 선상에서 김 위원장으로선 트럼프 대통령과의 북미정상회담이 실패할 경우에 대비해 시 주석과의 연대를 더욱 강화하려는 차원이라는 것입니다.

특히 김 위원장의 이번 방중은 북한을 둘러싼 외교전의 한가운데에서 주도적 역할을 하려는 중국의 이해관계와도 맞아떨어지는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또 40여 일 만의 북·중 정상회담 재개최와 북미정상회담의 날짜 및 장소 발표 지연을 놓고 정상회담 준비가 뜻밖의 장애에 부딪힐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뉴욕타임스는 "김정은과 시 주석의 이번 연대 강화는 중국이 한반도 상황에서 중심 역할을 회복하기 위해 부심하는 와중에 이뤄진 것"이라며 김 위원장의 방중 목적이 시 주석에게 제재완화를 요청하기 위한 것이라는 중국 전문가들의 분석 내용을 소개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과의 남북정상회담이 김정은에게 새로운 지렛대를 제공했을 수 있다"며 "김정은은 중국이 북한의 경제적 고통을 완화해주지 않으면 한국이 그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을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중국 전문가들은 그럼에도 북중 정상 간의 훈풍 모드가 지나치게 확대 해석돼선 안된다는 진단도 내놨습니다.

김 위원장은 시 주석과의 회동을 통해 중국이 소외되지 않도록 담보하면서 북미정상회담을 앞두고 중국의 지원을 확보하려고 했을 것이라는 분석입니다.

AP통신은 "중국이 북한에 대한 경제적 생명줄의 역할을 해왔다는 점에서 북·중간 대화가 갖는 의미는 더 중요해질 수 있다"며 "김정은 입장에서는 트럼프 대통령과 하는 어떤 협상도 일정 정도 베이징의 입장과 보조를 맞춘다는 걸 분명하게 할 필요가 있는 상황"이라고 분석했습니다.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