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뉴스 > 경제

기준금리 인상 눈앞인데…비은행 가계대출 비중 사상 최고

이강 기자

입력 : 2017.11.18 13:38|수정 : 2017.11.18 13:38


가계가 예금은행이 아닌 곳에서 빌린 돈의 비중이 사상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습니다.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 나오는 상황에서 대출금리가 높은 비예금은행 대출 위주로 가계부채 부실화가 심화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옵니다.

오늘(18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으로 판매신용을 제외한 가계대출 천 313조 3천억원 중에 비은행 예금취급기관, 기타금융기관에서 빌린 돈은 총 682조 8천억억원으로 52%를 차지했습니다.

이 비중은 한은이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02년 4분기 이래 분기 기준으로 최곱니다.

비은행 예금취급기관과 기타금융기관은 상호저축은행 등 2금융권과 대부업체 등을 아우릅니다.

분기 기준으로 보면 비은행, 기타금융기관 가계대출은 계속해서 상승셉니다.

2006년 4분기 39%로 40%를 밑돌던 비은행, 기타금융기관 가계대출은 글로벌 금융위기를 거치며 2009년 4분기 44%까지 상승했습니다.

이후에도 매 분기 꾸준히 상승하더니 2014년 1분기 처음으로 50%대를 돌파했습니다.

최근 들어서는 상승 속도가 가팔라져 지난해 4분기 51%에 이어 올해 2분기까지 3분기 연속 사상 최고 기록을 갈아치웠습니다.

이러 현상은 은행에서 대출받기가 한층 까다로워졌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정부가 지난해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여신심사를 강화하는 가이드라인을 시행한 뒤 은행에서 돈을 빌리기 어려워진 저소득, 저신용 계층이 2금융권과 대부업체로 손을 뻗었다는 것입니다.

문제는 지난달 정부가 발표한 가계부채 대책으로도 비은행 가계대출이 늘어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정부는 모든 주택담보대출 원리금 상환액에 기타대출 이자상환액을 고려한 신 DTI를 내년부터 도입하고 DSR 도입 시기도 내년 하반기로 앞당길 예정입니다.

조영무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이번에 강화된 신 DTI 등 대출공급 억제 정책이 지난해부터 이어지고 있다"며 "사업자금, 생계자금 등 대출 수요가 있는 저소득층이 대출시장에서 밀려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조 연구위원은 "서민금융 확대는 또 다른 가계부채 부실화로 이어질 수 있다"며 "시간이 걸리더라도 한정된 저소득층을 위한 소득 증대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언했습니다.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