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뉴스 > 경제

되살아나는 헬스케어…묻지마 투자는 '금물'

하대석 기자

입력 : 2017.10.05 10:47|수정 : 2017.10.05 10:47


한미약품의 불공정 공시 사태 이후 주춤하던 제약·바이오주가 정책·업황 개선 등의 기대감 덕분에 최근 부활하고 있습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의약업종지수는 지난달 29일 종가 기준 10,693.90으로 작년 말 종가(7,591.60)보다 40.86% 올랐습니다.

이는 같은 기간 코스피 상승률(18.16%)의 두 배를 넘는 것입니다.

의료정밀업종지수도 같은 기간 2,962.24로 30.87% 올랐습니다.

코스닥 시장에서도 제약업종지수 상승률이 12.46%를 기록해 코스닥 상승률(3.39%)의 3배에 달했습니다.

제약·바이오 업종은 2015년 증시 상승을 이끄는 주요 업종으로 주목받았으나, 작년 한미약품의 불공정 공시 사태 이후로 급락한 이후 움츠러든 뒤 상승 기회를 엿보고 있었습니다.

최근 한미약품이 과거 중단됐던 신약후보물질의 임상을 재개하면서 신약의 가치가 재부각돼 관련 업종 주가가 부활하는 추세입니다.

종목별 등락률을 보면 신라젠이 올해 들어 237.36% 올라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작년 11월에 상장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123.51% 올랐습니다.

퓨처켐(93.00%), 휴젤(64.06%), 메디포스트(55.80%), 대웅제약(54.29%), 한미약품(48.77%) 등이 큰 폭으로 올랐습니다.

코스피 이전상장을 결정한 셀트리온도 올해 32.22% 상승했습니다.

그러나 신라젠은 최근 주가 급등과 관련한 거래소의 조회공시 요구에 올해만 6월과 9월 두 차례에 걸쳐 "공시할 중요한 정보가 없다"고 답변했습니다.

신라젠이 개발 중인 간암치료제 후보물질의 미래 가치가 그만큼 클 수도 있지만, 업계에서도 이 정도 상승은 정상 범위를 넘어선다는 분석이 많습니다.

설립한 지 6년, 상장한 지 10개월밖에 지나지 않은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최근 스위스 제약업체 론자의 시가총액을 뛰어넘었습니다.

론자는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사업 영역인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CMO), 의약품 수탁제조개발(CDO) 분야의 글로벌 1위인 업체입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올 상반기 매출액은 1천709억원으로, 같은 기간 론자 매출액(약 2조7천억원)의 15분의 1 수준에 불과합니다.

제약업계 한 관계자는 "신약 개발은 아주 오랜 기간 자금이 많이 투입되는데도 전혀 마지막 단계에서 개발이 중단되는 일이 부지기수"라며 "신약이 개발된다면 높은 실적을 올릴 수 있지만 그만큼 리스크도 크다는 점을 투자자들이 꼭 기억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