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21일(미국 동부시간) 제72차 유엔총회에 참석해 기조연설을 합니다.
우리나라 정상이 취임 첫해 유엔총회에 참석해 연설을 하는 것은 1991년 남북한 유엔 동시가입 이후 처음입니다.
문 대통령은 세계 120여개 국 정상급 인사들을 상대로 한 이번 연설에서 새 정부의 국정철학과 대외정책기조를 소개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후변화와 개발, 난민 등 글로벌 현안에 있어 한국이 적극적으로 기여하겠다는 의지를 천명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문 대통령은 특히 국제사회의 최대 위협요인으로 부상한 북핵문제를 놓고 '평화적 해결'이라는 원칙을 유지하면서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끌고 나오기 위해 국제사회 전체가 단합된 압박을 가해줄 것을 촉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최근 안전보장이사회의 결의 2375호를 도출해낸 국제사회의 대북 공조가 한반도에서 군사적 충돌 위기를 고조시키는 게 아니라 외교적인 방법을 통해 평화적 해결을 지향하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는 메시지로 풀이됩니다.
특히 한국전쟁의 비극과 참화를 겪었던 당사국으로서 한반도에 전쟁이 있어서는 안된다는 입장과 함께 북핵문제 해결의 '포괄적·근원적 접근'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다만 미국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9일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미국과 동맹을 방어해야만 한다면 우리는 북한을 완전히 파괴하는 것 외에 다른 선택이 없을 것"이라는 초강경 언급을 내놓으면서 문 대통령의 연설내용에 영향을 끼칠지 주목됩니다.
일각에서는 문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에 따라 당초 구상한 메시지의 톤과 수위를 일정하게 조절할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으나 '평화'와 '압박'이라는 키워드를 균형있게 강조하는 기존 스탠스에는 큰 변화가 없을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관측입니다.
청와대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 북한에 최대한도의 압박과 제재를 가한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한 것이라고 평가하고 있습니다.
유엔총회 기조연설과 함께 한·미 정상회담이 예정돼있어, 문 대통령이 강조해온 대로 '평화적 해결'을 위한 '최대한도의 압박과 제재'라는 공통의 기조가 도출될 수 있을 지 주목됩니다.
청와대 관계자는 "대통령께서 직접 끝까지 연설문을 보고 필요에 따라 손질할 수는 있지만 큰 틀의 기조에는 변화가 없을 것으로 안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