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뉴스 > 생활·문화

"신체 활동이 치매 발병 위험 낮추는 데 가장 효과적"

유영규 기자

입력 : 2017.08.31 08:34|수정 : 2017.08.31 08:34


치매 발병에 영향을 끼치는 다양한 요소 중 '신체 비활동'이 기여하는 위험도가 가장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즉, 신체 활동을 많이 할수록 치매 발생률을 줄이는 효과가 크다는 뜻입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정영호 선임연구위원과 고숙자 부연구위원의 '치매 위험요인 기여도 분석과 치매 관리 방안 모색' 보고서에 따르면 해외 연구에서 제시한 치매의 7가지 위험요인의 상대 위험도는 '신체 비활동'이 1.82로 가장 높았습니다.

이어 우울증 1.65, 65세 미만 성인의 고혈압 1.61, 65세 미만 성인의 비만 1.6입니다.

흡연과 교육 수준은 각각 1.59, 당뇨병 1.46입니다.

이 상대 위험도와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확인된 각 질병의 유병률을 토대로 특정 위험요인으로 인해 발생했다고 간주하는 '인구기여위험도'를 산출한 결과, 신체 비활동이 28.74%로 다른 요인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났습니다.

기여위험도가 높다는 것은 해당 위험요인을 제거했을 때 질병의 발생률을 줄이는 효과가 크다는 의미입니다.

이어 65세 미만 성인의 비만(BMI 25 이상)이 15.87%, 교육 수준(중학교 졸업 이하)이 13.11%, 흡연이 11.29% 등으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65세 미만 성인의 고혈압은 4.66%, 우울증은 3.68%, 당뇨병은 2.46%였습니다.

7가지 위험요인이 전체적으로 합쳐진 치매 유병 기여도는 18.02%로 나타났습니다.

보고서는 "일반적인 건강 위험요인이라 할 수 있는 신체 비활동, 비만, 흡연, 고혈압, 우울증, 당뇨 등이 치매의 위험요인이므로, 전반적인 건강 증진과 예방 강화를 통해 치매 예방을 기대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또 "진단 이전에 위험요인을 관리하고 검진을 통해 치매를 조기에 발견함으로써 중증화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보고서는 "유럽 국가는 보건의료서비스와 사회서비스를 통합해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치매를 관리해 가정에서 시설 등으로 이어지는 사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치매 진단과 치료를 위한 일차적 경로의 기능이 약하다"고 지적했습니다.

보건복지부는 문재인 대통령이 공약으로 내건 '치매국가책임제' 실현을 위해 전국에 치매안심센터와 치매요양시설을 설치·확충하는 내용을 핵심으로 하는 종합계획을 마련해 내달 초 발표할 예정입니다.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