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뉴스 > 경제

살충제 달걀 후폭풍…식당엔 발길 뚝, 빵집은 판매재개 '보류'

입력 : 2017.08.20 17:16|수정 : 2017.08.20 17:16


'살충제 달걀' 파동으로 정부가 전국 산란계 농가에 대한 전수조사 결과를 발표했지만, 부실조사 논란이 증폭되면서 식당가에 미치는 후폭풍도 거세다.

20일 정오께 기자가 찾은 서울 중랑구에 있는 한 김밥 전문점에는 점심시간임에도 자리에 착석한 손님이 한 테이블에 불과했다.

주문·포장을 기다리는 손님은 아예 없었다.

이 식당에서는 김밥 재료로 사용되는 달걀이 살충제 검사결과 '적합' 판정을 받았다는 내용의 '식용란 살충제 검사결과 증명서'도 내걸었지만, 손님들의 불안감을 잠재우는 데는 별 효과가 없었던 셈이다.

해당 식당 주인 임 모 씨는 "주변에 아파트 단지가 많아서 평일보다는 주말 점심에 전화 주문이 더 많은 편인데, 오전 11시에 영업을 시작하고 나서 1시간 동안 전화 주문이 채 10건도 안 된다"며 "지난 주말 이틀과 비교해 보더라도 전체적으로도 매출이 절반 이상 줄었고, 아예 달걀을 빼달라는 손님도 많다"고 울상을 지었다.

제빵업계에도 '살충제 달걀' 사태의 불똥이 튀었다.

대형 제빵 프랜차이즈 A업체의 경우 17∼18일 매출이 전주보다 20% 이상 감소했다.

빵에 살충제 성분이 들어간 달걀을 사용했을지도 모른다는 소비자 우려 때문이다.

정부의 전수조사 결과를 놓고 부실검사 논란이 증폭되면서 '적합' 판정을 받고도 판매재개를 안 한 경우도 있었다.

서울 동대문구 휘경동에 있는 베이커리 겸 카페는 이날 '당분간 베이커리 판매를 중단합니다'라고 적힌 안내문을 내걸었다.

안내문에는 '정부의 미흡한 대처와 형식적인 조사로 인해 달걀에 대한 보완조사가 재진행된다고 한다.

검사결과의 신빙성을 판단해 판매를 재개하겠다'고 적혀있었다.

이 카페 주인은 "당초 전수조사 결과가 나오면 판매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했는데, 부실조사로 불안과 불신만 더 가중된 것 같다"며 "납품받고 있는 달걀이 적합 판정을 받았다는 통보는 왔지만, 신뢰가 가지 않아 보완조사 결과가 나올 때까지 판매재개를 하지 않을 생각"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