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중국에 거주하는 마지막 위안부 피해자였던 박차순 할머니가 어제(18일) 별세했습니다. 돌아가시기 꼭 이틀 전에 저희 SBS 취재진이 할머님을 뵙고 왔습니다. 마지막 모습을 전해드립니다.
임상범 특파원입니다.
<기사 내용>
후베이성 우한시에서 차로 두 시간, 박차순 할머니가 살아온 시골 마을입니다.
한기 도는 병상에 꼼짝 못 하고 누워 있던 박 할머니는 한국 손님이라는 말에 기자의 손을 꼭 쥡니다.
[수고가 많네.]
2년 넘게 뇌경색에 척추협착증까지 앓아 온 할머니의 숨소리가 거칩니다.
[박차순 할머니/중국 후베이 성 거주 (이틀 전) : 너무 힘들어, 정말 안 되겠어!]
산소 호흡기에 의지해 힘겹게 생사를 넘나들던 할머니는 결국 어제 향년 95세로 숨을 거뒀습니다.
꽃다운 스무 살 처녀는 일본군에 이끌려 중국으로 와 위안소에서 3년 넘게 고초를 겪었습니다.
일본 패망 뒤에도 부끄러워 귀국을 못 한 채 타국 땅에서 가정을 이뤘지만, 평생 가난에서 벗어나지 못했습니다.
한일 위안부 합의로 출범한 '화해와 치유 재단'은 두 달 전 할머니를 찾아와 치유금을 전달했지만, 평생 바라던 일본의 진심 어린 사과는 어디에도 없었습니다.
[황메이룽/박차순 할머니 딸 : 그 사람들이 엄마한테 배상금을 원하느냐고 물었더니 엄마는 원하지 않는다고 얘기했어요. (한일 합의에 대해 설명 들으셨어요?) 나는 배운 게 없고 글도 몰라서 내용을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어려운 살림에 병치레까지 하느라 75년이나 고국 땅을 밟지 못했고 우리말도 잊었지만, 가슴엔 늘 그리운 것이 있었습니다.
[아리랑! 엄마! 엄마!]
지난 2015년 말 한일 위안부 합의 뒤, 세상을 떠난 위안부 피해자는 벌써 8명째입니다.
(SBS 비디오머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