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뉴스 > 생활·문화

"위작 논란 '미인도' 원래 소장자는 김재규 중앙정보부장"

입력 : 2016.12.19 17:15|수정 : 2016.12.19 17:15


19일 고(故) 천경자 화백의 '미인도' 위작 논란을 둘러싼 검찰 수사 결과 발표에서는 그동안 베일에 싸여있던 원래 소장자가 김재규 전 중앙정보부장이었다는 사실도 공개됐다.

그동안 미술계 안팎에서는 박정희 전 대통령 시해 사건으로 사형에 처해졌던 김 부장이 미인도의 최종 소유자라는 얘기가 끊이지 않았는데 검찰 수사를 통해 이 소문이 사실로 확인된 셈이다.

검찰에 따르면 천 화백은 1976년 12월 대구에서 개최된 미술전에서 화랑을 운영하는 지인을 통해 당시 중앙정보부 대구분실장인 오모씨를 소개받았다.

이듬해 오씨가 천 화백에게 그림을 구매하고 싶다고 부탁하자 천 화백은 미인도를 포함한 그림 2점을 건넸다.

이어 오씨의 처는 다시 김 부장의 부인에게 미인도를 선물한 것으로 조사됐다.

김 부장이 미인도를 성북구 보문동에 있던 자신의 자택에 걸어둔 시점은 1978년 9월이다.

이듬해 10월 박정희 전 대통령을 시해한 뒤 당시 전두환 장군이 이끄는 계엄사령부에 구속돼 재판에 넘겨졌고 그즈음 미인도를 계엄사령부 산하 기부재산처리위원회에 헌납했다는 게 검찰 설명이다.

세간의 뇌리에 각인된 '미인도'라는 이름도 헌납 뒤 국가의 감정 과정에서 붙여졌다고 한다.

검찰은 국가기록원과 육군본부 등에서 당시 김 부장의 '증여재산목록' 공문을 찾아 이를 확인했다.

증여재산목록에는 김 부장의 이름과 주소, '천경자 미인도'라는 글씨가 선명하게 찍혀있다.

1980년 김 부장의 손을 떠난 미인도는 작품의 위상과는 다른 '험한 운명'을 겪었다.

계엄사령부는 그해 2월 미인도를 재무부에 처리하라고 맡겼고 재무부는 3∼5월 2개월간 영등포 대한통운 물류창고에 쑤셔 넣고선 문화공보부에 인수를 요청했다.

문공부는 다시 이를 국립현대미술관에 떠밀었다.

국립미술관 전문위원이던 오모씨는 창고 한쪽에 놓여있던 미인도를 진품으로 판단해 인수한 뒤 미술관 수장고에 입고시켰다.

이때가 1980년 5월이다.

미인도는 이때부터 10년간 국립미술관 수장고에 보관됐다가 1990년 4∼11월 '움직이는 미술관' 사업의 하나로 전국 순회 전시되며 다시 세상의 빛을 봤다.

당시 미술관 측은 미술 작품을 토대로 아트 포스터 형태로 약 900장을 제작해 판매하기도 했는데 이게 미인도의 운명을 바꿔놓을 줄은 아무도 상상하지 못했다.

전시가 끝난 이듬해 4월 천 화백의 지인이 한 대중목욕탕에서 미인도가 그려진 아트 포스터를 보고 이 사실을 천 화백에게 알렸고 천 화백은 포스터 속 미인도가 위작이라고 주장했다.

이는 25년간 이어진 미인도 위작 논란의 시발점이었다.

미술계 일각에서는 천 화백이 실제 크기보다 확대된 포스터 이미지 때문에 착오를 일으켰을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천 화백은 당시 자신이 직접 제작한 실물도 확인했지만 끝내 위작 주장을 굽히지 않았다.

(연합뉴스)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