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년 동안 자신을 '최하층'이라고 인식하는 가구가 많아지면서 계층이동에 대한 기대감이 낮아지고 있습니다.
또 고인 인구의 증가 속도보다 노인범죄가 더 빨리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통계청이 오늘(12일) 발표한 올해 '한국의 사회동향 '에 따르면 소득·직업·교육·재산 등을 고려한 사회경제적 지위가 어디에 속한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1994년엔 약 12%만이 6개 범주 중 최하층을 꼽았지만, 2015년에는 이 비중이 20% 정도로 증가했다.
중간층에 속한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60%대에서 53%로 낮아졌습니다.
세대 내 계층적 상향 이동 가능성에 대해서는 비관론이 점차 득세하는 모습이다.
1994년에는 일생동안 노력을 통해 개인의 지위가 높아질 가능성에 대한 긍정적 응답이 60.1%에 달했지만 작년에는 21.8%로 떨어졌습니다.
이에 비해 부정적 응답은 5.3%에 불과했던 것이 20년새 62.2%로 수직상승했습니다.
특히 2015년 현재 30∼40대 10명 중 7명 가량이 비관적 인식을 나타냈습니다.
자녀세대의 계층적 상향이동 가능성에 대해서도 10명 중 3명만이 낙관적이었고 2명은 유보적, 5명은 비관적이었습니다.
결혼·출산 결정 연령대인 30대에서 비관적 인식이 2006년 약 30%에서 지난해 약 2배인 60% 정도로 늘었습니다.
가구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세대내·세대간 상향 이동 가능성을 낮게 평가하는 경향이 나타났습니다.
한편 한국의 총인구가 1994년에서 2013년 동안 10% 증가하는 사이 61세 이상 노인인구는 2.2배로 늘었습니다.
인구 10만명당 노인 수는 8천120명에서 1만5천997명으로 두배가 됐습니다.
인구 10만명당 61세 이상 형법 범죄자 수는 25.6명에서 약 5.9배인 151.5명으로 급증했습니다.
노인 범죄자 증가 폭이 노인 인구 증가 폭의 약 3배에 달하는 셈입니다.
노인범죄는 전반적으로 재산·폭력·흉악범죄 순으로 많았습니다.
2013년 노인 재산범죄자는 67.4명, 폭력범죄 44.7명, 흉악범죄는 3.4명이었습니다.
이중 흉악범죄자는 1994년 0.3명에 비교하면 11.3배로 늘어난 것입니다.
61세 이상 형법범죄피해자의 규모는 지난 20년간 1만여명에서 8.8배인 약 9만명으로 증가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