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뉴스

뉴스 > 사회

'악몽 같던 6시간'…한 살배기 2번 마취하고 방치한 종합병원

이정국 기자

입력 : 2016.09.23 09:29|수정 : 2016.09.23 09:52


"눈썹이 찢어진 12개월 아이에게 마취만 2번하고 당직 의사가 6시간 동안 코빼기도 안 보이다뇨. 이게 말이 됩니까?"

지난 10일 눈가가 찢어진 아이를 둘러업고 병원 응급실을 찾았지만, 치료를 받지 못한 부모의 분통 터지는 사연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올라왔습니다.

글쓴이 A 씨는 지난 9일 밤 11시쯤 다친 아이를 감싸 안고 전북 익산의 한 병원 응급실을 찾았지만, 치료를 받지 못하고 발만 동동 구를 수밖에 없었습니다.

이날 조 모(1·여) 양은 걷는 게 한창 재미있을 나이라 방 이쪽저쪽을 아장아장 걸어 다니다 수납장에 눈 쪽을 부딪쳤습니다.

눈가에서 피가 흐르는 조 양을 보고 깜짝 놀란 어머니 강 모(34·여) 씨는 아이를 둘러업고 병원으로 향했습니다.

목청이 떨어져라 울음을 터뜨리는 아이를 안고 병원 응급실에 도착했습니다.

강 씨의 어머니가 접수하는 동안 강 씨는 응급실 안 환자들에게 피해를 입힐까 봐 응급실 밖에서 아이를 어르고 달랬습니다.

접수한 뒤로 40∼50분가량이 지났습니다.

하얀 가운을 입은 인턴은 그제야 조 양 상처에 간단한 소독을 했습니다.

이어 인턴은 상처 부위를 찍어 담당 주치의에게 전송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시간이 지나 다시 강 씨에게 다가온 인턴은 마취해야 한다고 했고, 뒤늦게 병원을 찾은 강 씨 아버지는 "왜 의사가 아이 상태도 안 보고 마취를 결정하느냐"고 따졌습니다.

조 양 상처 사진을 받아본 주치의의 결정이라고 했습니다.

찢어진 조 양의 눈가 6곳에 주삿바늘을 꽂았습니다.

마취하는 모습조차 차마 지켜보지 못한 강 씨는 얼른 치료를 받고 이곳을 나가고 싶은 마음뿐이었습니다.

마취한 지 30분이 지났습니다.

부분 마취라 약효가 얼마나 갈지도 모르는데 주치의라는 사람은 모습을 보이지 않았습니다.

그러더니 병원에서는 수면안정제를 조 양에게 먹여야 한다고 했습니다.

인터넷 '맘카페'에서 수면안정제의 부작용을 익히 들었던 터라 아이에게 먹이고 싶지 않았지만, 강 씨는 얼른 치료를 받게 하고 싶었습니다.

강 씨는 울고불고 구토까지 하는 아이에게 꾸역꾸역 수면안정제를 먹였고 조 양은 잠이 들었습니다.

아기를 재워야 치료를 할 수 있다고 해서 먹인 수면안정제였습니다.

강 씨는 의료진에게 다가가 치료를 해달라고 요청했고, 한 의료진은 '아기가 흔들어도 안 일어나느냐'고 물었습니다.

그러고서 또 1시간이 흘렀습니다.

담당 의사는 내려오지 않았습니다.

화가 머리끝까지 난 강 씨와 가족들은 응급실에 도착한 지 4시간 정도가 지났을 때쯤 강하게 항의했습니다.

주치의 행방을 묻는 이들에게 응급실 간호사는 '그건 우리도 모른다. 계속 의사에게 연락했지만 전화를 받지 않는다'고 했습니다.

강 씨 가족과 같이 '의사는 언제 오느냐'고 묻는 환자들에게 한 간호사는 '언젠가 오시겠죠'라고 답하기도 했습니다.

강 씨는 아픈 아이를 다른 병원으로 데려가면 또 마취해야 하는 상황을 반복하기 싫어서 의사를 좀 더 기다리기로 했습니다.

가족이 의료진에 항의한 사실을 알면 뒤늦게 도착한 의사가 치료 도중에 아이에게 해코지할까 봐 치밀어오르는 화를 다 표현하지도 못했습니다.

다시 2시간이 흘렀습니다.

2번째 놓은 마취마저 풀린 조 양을 업고 강 씨 가족은 응급실을 나와야 했습니다.

응급실이 떠나가라 우는 아이에게 2차례 마취를 하고 6시간 동안 받은 치료라곤 상처 소독뿐이었습니다.

강 씨는 10일 오전 5시 40분쯤 병원 응급실을 나와 오전 8시에 진료가 시작되는 개인병원을 찾아야 했습니다.

강 씨 가족이 해당 내용을 SNS에 올리자 누리꾼 1만 3천여 명이 글을 보고 댓글 수십 개를 다는 등 상당한 관심을 보였습니다.

누리꾼들은 '나도 해당 병원에서 같은 경험을 한 적이 있다' '내가 이 병원을 절대 가지 않는다' '병원 단단히 미쳤다. 어떻게 애를…' 등등의 의견을 남겼습니다.

이에 병원은 해당 부모에게 수차례 전화로 사과하고 경위를 파악하고 있습니다.

병원 관계자는 "조 양 부모들이 아이를 응급 진료하는 과정에서 마음이 많이 상한 것 같다"며 "당시에 당직을 섰던 해당 의사를 상대로 경위를 묻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SBS 뉴스